약 3천억원 규모…"우크라전이 취소 계기"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서방국들의 대러시아 제재 속에 필리핀 정부가 러시아 군용 헬리콥터 구매를 취소했다. 11일 일간 필리핀 스타와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국방부는 127억 페소(2천994억원) 규모의 러시아 Mi-17 헬기 16대 구매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고 전날 밝혔다. 국방부 대변인은 "공식적인 계약 해지를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계약 취소로 야기되는 문제와 관련해 러시아 측과 외교적 대화를 시작할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 정세에 따른 우선순위 변화로 전 정부의 러시아 헬기 구매 계획을 취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호세 로무알데즈 주미 필리핀 대사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약 취소의 계기가 됐다"고 AFP 통신에 말했다. 그는 러시아와 거래하는 제3국 정부나 기업에 대해서도 제재를 가하는 미국의 법도 고려했다며 미국이 러시아산을 대체할 헬기 구매를 제안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필리핀 정부는 지난해 11월 러시아산 Mi-17 헬기 구매 계약을 체결한 뒤 올해 1월에 선금을 지급했다. 올해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필리핀은 이를 규탄하는 유엔 결의안에 찬성했지만 군용 헬기 계약은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6월 임기가 만료된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이 군용 헬기 구매에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두테르테 전 대통령은 퇴임 전 러시아 헬기 구매 취소 방침을 정했고, 6월 30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취임 후 새 정부가 거래를 재검토해 취소를 확정했다. 두테르테 정권에서 러시아산 군용 헬기 구매를 추진한 델핀 로렌자나 전 국방장관은 "두테르테 대통령이 임기 말에
요즘 10대들은 페이스북보다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자보다는 영상·사진 중심 소셜미디어를 더 선호하는 경향 때문이다.10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는 지난 4~5월 미국 내 13~17세 청소년 1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튜브를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적 있다는 응답자가 95%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뒤이어 틱톡이 67%였다. 유튜브는 약 17년 전 출시됐고, 틱톡은 불과 약 7년 정도뿐 안 된 플랫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틱톡의 성장세가 폭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유튜브와 틱톡에 이어 인스타그램(62%), 스냅챗(59%) 등 순이었다.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사진과 영상 등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이다. 인스타그램과 스냅챗을 이용해봤다는 응답률은 2014~2015년 시행한 설문 결과 때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아졌다.종전 조사에서 71%로 1위를 차지했던 페이스북의 이용률은 크게 줄었다. 페이스북을 한 번이라도 사용해봤다는 청소년은 32%로 5위에 그쳤다. 같은 기간 트위터 이용 경험도 33%에서 23%로 10%포인트 떨어졌다, 텀블러를 써본 적이 있다는 응답률은 14%에서 5%로 감소했다.외신들은 요즘 10대들이 활자 위주의 SNS 애플리케이션을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했다.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
구리 가격이 5주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됐기 때문이다.10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3개월물 구리 가격은 전날 보다 1.28% 오른 톤당 8085.5달러에 마감했다. 장중 8089달러를 찍으며 지난 7월 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구리 가격이 오른 것은 이날 나온 지난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과 관련 깊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7월 CPI는 1년 전보다 8.5% 올랐다. 이는 1981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던 전달 CPI 상승률(9.1%) 보다 둔화된 것이다. 이날 수치는 시장 예상치도 밑돌았다.시장에선 미 중앙은행(Fed)이 보다 덜 공격적으로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렸다. 금리 인상 폭이 줄어들면 경기침체 가능성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산업 생산활동이 활기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되면서 대표적인 산업용 금속인 구리의 가격도 뛰어오른 것이다. 올레 한센 코펜하겐 작소은행 상품전략본부장은 "미국이 기존 예상보다 낮은 수준으로 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이 구리 가격을 높였다"고 설명했다.앞서 구리 가격은 최대 금속 소비국인 중국의 건설업 경기가 좋지 않다는 신호로 약세를 보였었다.이날 다른 산업용 금속인 알루미늄 가격도 올랐다. LME에서 알루미늄 선물은 전날 대비 0.1% 오른 톤당 2493달러를 기록했다.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