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군이 지난해 테러단체로 규정했던 팔레스타인 인권 사회단체들의 사무실을 폐쇄했다고 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등 현지 언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스라엘군과 국내 정보기관 신베트 및 경찰은 이날 새벽 요르단강 서안의 중심도시 라말라에 있는 7개 비정부기구(NGO)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당국은 컴퓨터 등을 압수하고 사무실 출입구를 봉쇄했다. 출입문에는 "안보상의 이유로 사무실을 강제 폐쇄한다. 이곳에서의 활동이 지역과 보안군 및 공공의 안전을 해친다"는 안내문을 내걸었다. 사무실 수색 및 폐쇄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돌과 화염병을 던지며 항의했고, 이스라엘군은 최루탄 등을 쏘며 대응했다. 이날 사무실이 폐쇄된 NGO 중 6곳은 지난해 10월 이스라엘 국방부에 의해 테러단체로 지정됐다. 인권단체 알-하크, 여성 단체인 팔레스타인여성연합위원회(UPWC), 수감자 지원 단체인 아다미어, 시민사회 단체인 비산 연구개발센터, 아동 인권단체인 '디펜스 포 칠드런 인터내셔널'의 팔레스타인 지부, 농업 관련 단체인 농업위원회연합(UAWC) 등이다. 당시 이스라엘 국방부는 이들 단체가 각종 서류를 위조해 유럽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받은 지원금 중 일부를 극좌 단체인 팔레스타인인민해방전선(PFLP)에 주고 은밀히 협력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이스라엘은 이 단체들과 PFLP의 유착에 관한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고, 9개 유럽 국가들은 지난달 이 단체들과 계속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런데도 베니 간츠 이스라엘 국방부 장관은 전날 6개 단체 중 3곳을 법정 테러 단체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의 고위 관리인 후세인 알-셰이크는 트위터
유럽 최대의 원자력발전소인 우크라이나 동부의 자포리자 원전에 포격이 잇따른 사태를 두고 우크라이나와 책임 공방을 벌이는 러시아가 '원전 폐쇄' 카드까지 들고 나왔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18일(현지시간) 자포리자 원전에 우크라이나군이 포격을 계속하면 원전을 폐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군 화생방 방어군을 이끄는 이고리 키릴로프는 이날 브리핑에서 "자포리자 원전의 예비 지원 시스템이 포격으로 인해 손상됐다"면서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방사성 물질이 독일과 폴란드, 슬로바키아를 덮을 것"이라고 말했다. 원자로 6기를 보유하고 있는 자포리자 원전에는 이달 5∼6일에 이어 지난 11일에도 포격이 잇따라 전원 공급선과 통신선 등이 일부 파손됐다. 원전 주변 지역에도 포격이 이어져 방사성 물질 유출 가능성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3월 초 원전 일대를 장악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공격을 했다고 주장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정반대의 주장을 내놓으며 진실 공방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지난 15일 동영상 연설에서 러시아군에 대해 "원전 단지를 공격하거나 공격 기지로 활용하면 우크라이나군의 '특수 목표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에 대한 추가 포격이나 원전을 활용한 군사 행동을 더 감행한다면 특수 작전으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지금까지의 원전 포격 주체 역시 러시아라는 주장으로 읽힌다. 서방 국가들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자포리자 원전 현장을 시찰하고 보안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WHO 사무총장 "지구상 최악 재난"…다른 반군은 가뭄에 휴전 제안 에티오피아 정부가 17일(현지시간) 북부 티그라이 지역의 반군(TPLF) 측에 평화를 제의했으나 TPLF는 진정성이 없다면서 거부했다고 AP, AF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에티오피아 정부 평화위원회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3월 말 인도주의 차원에서 시작한 정전을 정식 휴전협정으로 전환하자고 제안했다. 성명은 "티그라이 지역에 기본 서비스를 재개할 뿐 아니라 인도주의 지원을 지속하며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위원회는 가능한 한 빨리 휴전을 마무리 지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과정을 가속하기 위해 본 위원회는 휴전을 완료하고 미래 정치 대화의 기초를 놓을 평화 제의를 채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TPLF는 위원회의 제안에 대해 상황을 오도한다면서 아비 아머드 총리 정부가 대화에 대한 어떤 진정성도 보여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TPLF 측은 평화 협정 이전에 우선 통신, 전기, 은행 등 기본서비스 공급부터 재개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티그라이 지역은 지난 2020년 11월 내전 발발 이후부터 기본서비스가 사실상 끊긴 상태이다. 약 3개월간 인도주의 지원물자가 아예 들어가지 못하다가 지난 3월 말부터 소량의 의약품과 식량이 다시 반입됐다. 정부 평화위원회는 이 같은 안을 중재해달라고 아프리카연합(AU)에 제의했다고도 밝혔다. AU 특사로 현재 올루세군 오바산조 전 나이지리아 대통령이 중재 노력을 하고 있으나 티그라이 반군 측은 퇴임을 앞둔 우후루 케냐타 케냐 대통령을 선호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티그라이 출신인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