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역전을 꿈꾸던 땅굴 도둑들이 본전은커녕 하마터면 목숨을 잃을 뻔한 사건이 이탈리아 로마에서 발생했다. 12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일간 '라 레푸블리카'에 따르면 전날 오전, 터널에 갇힌 사람을 구해달라는 요청이 112 응급 전화에 접수됐다. 긴급 구조대가 신고가 들어온 로마 중심부의 인노첸시오 11세 길에 도착해보니 무너진 도로 아래에서 희미하게 남성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구조대는 8시간에 걸친 작업 끝에 11일 오후 7시 30분께 안드레아라는 이름의 35세 남성을 터널에서 꺼내는 데 성공했다. 안드레아가 포함된 4명의 일당은 일주일 전, 인근 상점을 임대해 땅굴을 파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내린 비로 인해 지반이 약해져 땅굴 위 도로가 내려앉으면서 파놓은 지하 굴에 꼼짝없이 갇힌 것이다. '라 레푸블리카'는 구사일생으로 빠져나온 일당 중 한 명이 땅굴에 갇힌 안드레아를 살리기 위해 구조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구조된 안드레아는 병원으로 이송됐고, 경찰은 현장에서 나머지 일당 3명을 일단 공공시설물 훼손 혐의로 체포해 범죄 목적으로 땅을 팠는지를 캐고 있다. 일당 4명 중 2명은 로마, 2명은 나폴리 출신으로 대부분 강도 전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무너진 도로에서 200m 이내에 은행 2곳이 있는 점으로 미뤄 이들이 은행 금고를 노리고 땅굴을 팠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사건 경위를 조사 중이다. 한국의 광복절인 15일은 이탈리아에서 대형 휴일인 성모 마리아 승천 대축일 '페라고스토'다. 일당은 은행이 휴업하고 로마인들이 대거 휴가를 떠나는 이날을 디데이 삼아 '거사'를 꾸민 것으로 보인다고 현지 언론들은 추측했다. /연합뉴스
"압수수색 동기 됐을 것" vs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날조" 법무부, 영장 공개 청구에 트럼프도 긍정적…법원 결정 주목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자택을 압수수색해 논란이 되는 가운데 FBI의 압수수색 대상에 핵무기 관련 기밀 문건이 포함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날조'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 실체적 진실을 둘러싼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앞서 WP는 이번 수사에 대해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FBI의 압수수색 대상에 핵무기 관련 기밀문건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러나 FBI가 압수수색을 통해 핵무기 관련 기밀문서를 회수했는지, 이 문서가 미국이나 다른 나라가 보유한 핵무기와 관련한 내용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WP는 법무부와 FBI도 답변을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그러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러라고에 이런 기밀 정보가 보관돼 있을 수 있다는 점, 이것이 적대 세력에 넘어갈 위험 등을 두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법무부 방첩부서 고위관리 출신인 데이비드 라우프먼은 이 신문에 "(핵무기 관련 내용이) 사실이라면, 마러라고에 불법 보관된 문건들이 최고 수준의 기밀자료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FBI와 법무부가 신속하게 이를 되찾고자 하는 화급한 (압수수색의) 동기가 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핵무기 이슈는 나에 대한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날조"라고 발끈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8일에도 FBI가 자신의 자택을 압수수색하자 이를 전격 공개하
중국 국영 석유기업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 등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다섯 곳이 자진 상장폐지하기로 했다. 최근 대만을 두고 미·중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 증시에서 자진 상장폐지를 선택하는 중국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12일 중국 외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시노펙과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 국유 석유업체 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등 5개 기업은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 스스로 상폐를 하겠다고 통보했다.이들 기업은 “오는 20~25일 자진 상장폐지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약 열흘 후 상장폐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뉴욕증시 상장 주식 비중이 크지 않고 상장 유지 의무를 지키기 위한 부담이 크다”고 자진 상폐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FT에 따르면 뉴욕증시에서 이 기업들의 시가총액 합은 3180억달러(약 415조원)를 웃돈다.이들 기업의 자진 상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뉴욕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에 대한 회계감독권을 놓고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 2020년 통과된 미 외국기업책임법(HFCAA)에 따르면 미국 내 회계기준을 3년 연속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들은 증시에서 퇴출될 수 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0곳 중 상폐 예비 명단에 올라 있는 기업은 159곳이다. 블룸버그는 이날 자진 상폐 결정을 내린 기업 중 시노펙과 페트로차이나, 중국생명은 상폐 예비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했다.일각에선 이달 초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미·중 갈등이 심화하자 중국 국유·국영 기업들이 선봉에 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