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중국군이 대만을 포위하는 형태로 훈련에 나서며 선박 물류 차질이 우려됐지만, 이 지역에서 기존 항로를 이용한 운송이 재개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8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자체 집계를 근거로 전날부터 30척 이상의 선박이 가오슝항 등 대만 주요 항구 남부에 설정됐던 중국군 훈련구역을 통과했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군은 펠로시 의장이 대만을 떠난 뒤 4∼7일 72시간에 걸쳐 대만 주변의 6개 구역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했으며, 이 기간 해당 지역에 대한 선박과 항공기 진입을 금지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선박들이 훈련 기간 대만해협 대신 대만 동쪽으로 우회하는 등 물류에 일정 부분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및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급망 혼란 속에 양안 긴장이 추가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였다. 대만 교통부가 7일 중국군이 발표한 6개 훈련구역에 대해 효력이 끝났다고 밝히면서 중국군 훈련이 종료됐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지만, 중국군은 이와 별개로 8일에도 대만 주변에서 훈련을 계속하고 있다고 밝힌 상태다. 하지만 블룸버그에 따르면 앞서 발표된 6개 훈련 구역 가운데 대만 남서부 가오슝항 인근 등 4곳에서 선박 운항이 관측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중동에서 원유를 싣고 온 초대형 유조선 한 척이 지난주 대만 북부 지역 항만에 머물다가 이날 가오슝항에 정박했다고 소개했다. 다른 유조선 한 척도 대만 북쪽으로 항로를 틀었다가 가오슝항으로 향하고 있고, 또 다른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2척은 연안 해역에 머물다가 대만 항만으로 들어왔다. 앞서 화물 운임 서비스 업체 프레이토
올해 전세계 게임시장 규모 1.2% 줄듯…10년 만에 첫 감소 코로나19 대유행의 수혜를 본 비디오 게임 업체들의 실적이 코로나19 확산의 완화와 함께 부진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CNBC 방송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방송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소니, 닌텐도가 2분기에 실망스러운 게임 부문 매출을 기록했다면서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되며 야외활동이 늘고 게임에 쏟는 시간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조사 업체인 NPD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미국인들이 게임에 지출한 금액이 124억달러(약 19조1천981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가 줄어들었다. 소니의 경우, 이번 분기 게임 부문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2%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37%가량 급감했다. 플레이스테이션5(PS5) 콘솔의 2분기 판매량은 240만대로, 작년 동기(230만대)보다 늘었지만 플레이스테이션 사용자들의 게임 시간은 15%나 줄었다. 소니는 그러나 상하이 공장의 봉쇄 해제와 연휴 기간 판매 호조 예상을 바탕으로 올해 1천800만대인 PS5 출하량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MS의 2분기 게임 매출도 작년 동기보다 7% 감소했다. 엑스박스 판매량은 11%나 감소했으며 게임 콘텐츠와 서비스 매출도 6% 줄었다. 닌텐도는 영업이익이 15% 감소했다. 2분기 휴대용 스위치 콘솔의 판매량은 343만대로 지난해 동기보다 23% 감소했으며, 소프트웨어 판매도 4천140만개로 8.6% 줄어들었다. MS에 인수된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순수익은 무려 70%나 급락했고 매출도 29%나 감소했다. 반면 일렉트로닉아츠(EA)는 지난 분기에 매출 14%, 수익 50% 증가세를 기록했다. CNBC는 반도체 부족으로 스위치 콘솔 생산과 판매가 원활하게 이뤄지지
안전자산 달러값 급등…채무부담 늘고 자본 탈출스리랑카처럼 될라…"미·중 성장동력 유지여부가 중대변수" 달러화가 강세를 이어가면서 미국을 뺀 다른 나라에서는 곡소리가 나온다고 CNN 방송이 8일(현지시간) 진단했다. 달러화 가치는 올들어 주요국 통화 대비 10% 이상 뛰어오르면서 20년 만에 최고치에 근접했다. 이는 세계 경기 침체 우려 속에 투자자들이 상대적 안전 자산으로 여겨지는 달러화를 쓸어모은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치솟는 물가를 잡으려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빅 스텝'을 이어간 것도 달러화 몸값을 끌어올렸다. 이런 분위기가 미국인 여행객에는 뜻밖의 호재라고 CNN은 전했다. 가령 이탈리아 로마에서 밤 나들이에 나설 때 기존에 100달러를 준비했다면 지금은 80달러 정도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을 뺀 다른 나라와 다국적 기업은 복잡한 셈법에 직면하게 됐다. 국제 무역에서 달러화로 청구되는 비중이 절반 정도에 달한다는 점에서 수입에 의존하는 중소기업이나 제조 업체에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 각국 정부가 보유 외환이 부족할 때 부채를 달러화로 상환하느라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실제로 경제가 취약한 국가에는 이미 타격에 노출됐다. 스리랑카는 달러화가 바닥난 와중에 대외 부채 상환이 겹치면서 결국 5월 국가 부도에 빠졌고, 외화 부족으로 생필품 수입에 차질이 생기면서 민생 경제가 파탄 났다. 오랜 경제난을 겪는 파키스탄은 지난달 달러 대비 루피화 환율이 사상 최저로 떨어지면서 디폴트 고비에 섰고, 이집트도 달러화 부족, 외국인 투자자 이탈로 비상에 걸렸다. 경제 연구소인 캐피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