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원인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남성성을 꼽았다. 잘못된 방향으로 남성성을 강조하느라 무리한 침략 전쟁을 일으켰다는 주장이다.
28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가디언에 따르면 존슨 총리는 독일에서 열린 G7정상회의 후 현지 매체 ZDF와의 인터뷰에서 푸틴의 성별을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의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푸틴이 여성이었다면, 그가 이런 미치고 남성적인(macho) 침략 전쟁을 벌이진 않았을 것”이라며 “독성(toxic) 남성성의 완벽한 예는 푸틴이 우크라이나에서 하고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주현절 목욕하는 푸틴 [사진=로이터 연합뉴스]푸틴 대통령은 소련 국가보안위원회(KGB) 요원 출신으로 평소에도 남성성을 강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웃통을 벗고 승마, 낚시를 하거나 냉수에 입수하는 모습을 줄곧 보여왔다.
이날 G7정상회의에서도 푸틴 대통령의 남성성은 G7 정상들의 이야깃거리가 됐다. 회의장에서 존슨 총리가 “우리가 푸틴 보다 강하게 보여야 한다”며 농담 삼아 재킷 탈의를 제안하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웃통 벗고 승마 정도는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에 존슨 총리가 “우리의 근육을 보여줘야 한다”며 분위기를 띄웠다.
존슨 총리의 도발이 나온 뒤 러시아 언론도 응수에 나섰다. 러시아 국영방송인 러시아-1의 방송 진행자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는 “보리스는 왜 이렇게 소심하냐”며 “선전포고를 하라”고 말했다. 그는 “용기를 내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싶지 않은가”며 “군대를 이끌고 상륙하라”는 발언도 덧붙였다. 미국 방송 폭스뉴스의 진행자인 피어스 모간은 27일 “(존슨 총리의 셔츠 탈의는) 보기 좋은 광경은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원전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현장 시찰을 두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우크라이나, 터키, 유엔 등 3자가 이 원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 시찰에 합의한 데 따른 대응이다.19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IAEA 시찰단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푸틴 대통령은 “자포리자 원전에 포격이 계속되면 광대한 땅에 방사능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대재앙이 초래될 수 있다”고도 경고했다.다른 러시아 관료도 IAEA 시찰에 긍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러시아 통신사인 타스통신에 따르면 미하일 울리야노프 오스트리아 주재 러시아 대사는 이날 온라인 브리핑에서 “IAEA의 현장 시찰이 다음달 초 중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시찰 방식, 임무, 경로, 규모, 기간 등에 대해 논의 중”이라며 “예상이 늘 맞는 건 아니지만 방문 시기는 시찰의 목적이나 임무와 무관한 외부 요인이 나타나지 않는 한 다음달 초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울리야노프 대사는 “날마다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과 소통하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오는 22일 그로시 사무총장이 여름 휴가에서 복귀하면 시찰 논의에 더 진전이 있을 것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후 지난 3월 자포리자 원전 일대를 점령했다. 원자로 6개를 보유한 이 원전은 단일 규모로는 유럽 최대 원자력발전소다. 최근 이 일대에 포격이 잇따르면서 방사능 누출 등 안전사고 위험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우크라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뒤 러시아에서 철수한 커피 글로벌 기업 스타벅스를 표방한 '스타스 커피' 1호점이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에 오픈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18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래퍼 티무르 유누소브와 레스토랑 경영자 안톤 핀스키는 스타벅스 매장을 인수해 브랜드 이름을 바꾼 후 이날 스타스 커피로 개장했다.이들 인물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지지하는 성향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올해 8∼9월 사이 더 많은 스타스 커피 매장을 개장할 계획이다. 그러나 스타스 커피의 브랜드 로고는 스타벅스와 너무 비슷해 '짝퉁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스타스 커피의 로고에서는 스타벅스의 로고인 그리스 신화 속 요정 사이렌이 러시아 전통 머리 장식 코코시니크를 쓴 여성으로 대체됐다. 그린 톤의 배경 색상과 여성 캐릭터라는 점도 똑같다. 스타스 커피가 판매할 메뉴는 아직 전해지지 않았다.스타벅스는 올해 5월 러시아에서 영업을 종료하고 떠나기 전까지 러시아에 매장 130개를 운영하고 있었다.한편, 스타스 커피와 관련해 스타벅스 측은 이와 관련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세계 주요 밀 산지인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이 정상 궤도에 오르면서 밀 가격이 지난 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쟁 이전 수준으로 식량 가격이 떨어지면서 세계 식량 공급 위기가 장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18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밀 12월물 선물 가격은 이날 부셸당 749센트를 기록했다. 전일 가격(780.5센트) 대비 4% 떨어졌다. 밀 선물 가격이 750센트 밑으로 내려간 건 지난 1월 14일 이후 7개월여만이다. 이 선물 가격은 5월 중순 1277센트까지 올랐다가 이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지난달 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간 합의에 의해서 우크라이나 오데사항에서 밀 수출이 재개된 뒤 밀 가격이 줄곧 떨어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달 1~15일 우크라이나에서 밀 등 식료품을 싣고 출항한 선박은 21척에 달한다. 50만톤이 넘는 규모다. 블룸버그통신은 “이 선적량은 평소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러시아의 침공과 기상 악화로 인해 확보가 어려워진 곡물 공급에 약간의 안도감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오데사항에서 곡물 수출이 안정적으로 이어지자 세계 식량 공급 상황이 안정될 것이란 낙관론이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오데사항을 포함한 3개 항구를 통해 곡물을 수출 중이다. 유엔과 터키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에서 곡물 공급 협정의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다. 터키가 우크라이나에서 출항한 선박을 검수해 화물을 확인한다.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곡물 수출, 자포리자 원전 문제 등을 다루기 위해 이날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만났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이날 성명에서 “세계 식품 시장이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