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수수색 동기 됐을 것" vs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날조" 법무부, 영장 공개 청구에 트럼프도 긍정적…법원 결정 주목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자택을 압수수색해 논란이 되는 가운데 FBI의 압수수색 대상에 핵무기 관련 기밀 문건이 포함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날조'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 실체적 진실을 둘러싼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앞서 WP는 이번 수사에 대해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FBI의 압수수색 대상에 핵무기 관련 기밀문건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신문은 그러나 FBI가 압수수색을 통해 핵무기 관련 기밀문서를 회수했는지, 이 문서가 미국이나 다른 나라가 보유한 핵무기와 관련한 내용인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WP는 법무부와 FBI도 답변을 거부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은 그러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러라고에 이런 기밀 정보가 보관돼 있을 수 있다는 점, 이것이 적대 세력에 넘어갈 위험 등을 두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법무부 방첩부서 고위관리 출신인 데이비드 라우프먼은 이 신문에 "(핵무기 관련 내용이) 사실이라면, 마러라고에 불법 보관된 문건들이 최고 수준의 기밀자료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이 FBI와 법무부가 신속하게 이를 되찾고자 하는 화급한 (압수수색의) 동기가 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같은 보도에 대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핵무기 이슈는 나에 대한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날조"라고 발끈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8일에도 FBI가 자신의 자택을 압수수색하자 이를 전격 공개하
중국 국영 석유기업인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 등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다섯 곳이 자진 상장폐지하기로 했다. 최근 대만을 두고 미·중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 증시에서 자진 상장폐지를 선택하는 중국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12일 중국 외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시노펙과 자회사인 상하이석유화공(시노펙 상하이), 중국 국유 석유업체 페트로차이나, 중국알루미늄, 중국생명 등 5개 기업은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 스스로 상폐를 하겠다고 통보했다.이들 기업은 “오는 20~25일 자진 상장폐지 신청서를 제출할 것”이라며 “약 열흘 후 상장폐지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뉴욕증시 상장 주식 비중이 크지 않고 상장 유지 의무를 지키기 위한 부담이 크다”고 자진 상폐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FT에 따르면 뉴욕증시에서 이 기업들의 시가총액 합은 3180억달러(약 415조원)를 웃돈다.이들 기업의 자진 상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뉴욕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들에 대한 회계감독권을 놓고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는 상황에서 나왔다. 2020년 통과된 미 외국기업책임법(HFCAA)에 따르면 미국 내 회계기준을 3년 연속 충족하지 못하는 외국 기업들은 증시에서 퇴출될 수 있다.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270곳 중 상폐 예비 명단에 올라 있는 기업은 159곳이다. 블룸버그는 이날 자진 상폐 결정을 내린 기업 중 시노펙과 페트로차이나, 중국생명은 상폐 예비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했다.일각에선 이달 초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계기로 미·중 갈등이 심화하자 중국 국유·국영 기업들이 선봉에 섰다
남미 파라과이의 부통령이 미국 정부로부터 부패 인사로 지목된 뒤 사퇴 의사를 밝혔다. 우고 벨라스케스 파라과이 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일반 시민으로서 나를 방어하기 위해 물러날 것"이라며 내주 중 부통령직에서 사퇴하겠다고 밝혔다고 현지 일간 라나시온이 보도했다. 내년 4월로 예정된 파라과이 대선에서 여당 콜로라도당의 유력 주자로 꼽혀왔던 그는 일단 대선 예비후보 지위에서도 즉각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벨라스케스 부통령의 사의 표명은 미국 정부의 부패 의혹 제기 직후에 나왔다. 이날 미 국무부는 성명을 내고 벨라스케스 부통령 등이 "뇌물과 공공절차 방해 등 중대한 부패에 연루됐다"며 부통령과 직계가족의 미국 입국을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부패 인사로 함께 지목된 부통령의 한 측근이 벨라스케스 부통령을 위협하는 수사를 방해하기 위해 공무원에 뇌물을 제공했다고도 폭로했다. 마크 오스트필드 파라과이 주재 미국 대사는 뇌물 액수가 100만달러(약 13억원) 이상이라고 밝혔다. 벨라스케스 부통령은 이날 현지 언론 인터뷰에서 이 같은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