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 회장의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가 미국 석유 대기업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지분을 20% 넘게 보유하게 되면서 옥시덴털의 순이익을 자신의 회계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버크셔는 이달 4∼8일 옥시덴털의 주식 670만주가량을 추가로 사들였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옥시덴털 보유 지분은 1억8천840만주(지분율 20.2%)로 늘어나 옥시덴털의 실적을 자신의 실적에 지분율만큼 반영할 수 있게 됐다. 미국 일반회계기준(GAAP)은 특정 회사의 보통주 20% 이상을 취득하면 해당 회사의 실적을 지분법에 따라 재무제표에 반영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국 일반회계기준(K-GAAP)에서도 지분율이 20% 이상이면 해당 회사를 관계회사로 간주해 이 회사의 경영 성과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리피니티브에 따르면 옥시덴털은 올해 순이익 105억달러(약 13조7천억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버크셔가 지분법을 적용해 옥시덴털의 실적을 반영하면 올해 순이익이 21억달러(약 2조7천억원) 늘어나게 된다. 물론 버크셔는 자신은 수동적 투자자라고 주장하며 옥시덴털의 실적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버크셔는 지분을 20% 이상 보유한 회사 중 식품회사 크래프트하인즈(지분율 26.6%)와 트럭 정류장 운영사 '파일럿 트레블 센터스'(지분율 38.6%) 등엔 지분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신용카드회사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지분율 20.2%)는 반영하지 않고 있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버크셔가 옥시덴털을 완전히 인수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옥시덴털은 올해 들어 국제 유가 상승세에 힘입어 주가가 90% 이상 급등했다. /연합뉴스
군부 공습 대항 목적…국내 피란민 1백만명·탈영병 1만명 미얀마 민주 진영이 쿠데타 군부 진영 군인들의 이탈을 종용하며 정부군의 공습에 맞설 휴대용 미사일 등 대공화기 확보에 나섰다. 8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 등에 따르면 민주 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국방부는 대공 화기를 가지고 탈영하는 미얀마 군인에게 거액의 보상을 하겠다고 발표했다. NUG는 정확한 보상금 액수를 밝히지는 않았다. 2019년 기준 국제무기 시장에서 중국산 FN-6 휴대용 방공 미사일 가격은 7만5천∼9만달러(약 9천850만원∼1억1천800만원)였다고 이라와디는 전했다. NUG는 지난 4월에도 미얀마군과 경찰의 탈영을 독려하기 위해 군용 항공기에 50만달러(6억5천만원) 등 주요 무기에 거액의 보상금을 제시한 바 있다. 현재 미얀마 군정은 소수민족 무장단체와 NUG 시민방위군(PDF)의 강한 저항에 밀려 중동부 카야주, 중부 사가잉·마궤 지역, 중북부 카친주·친주, 중남부 카야주, 카렌주는 장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지역에서는 미얀마군이 헬기와 전투기 등을 동원한 공중 공습에 집중하고 있어 많은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미얀마 군부 감시단체 ISP미얀마는 작년 2월 쿠데타 이후로 지난 5월까지 미얀마군의 공격을 피해 집을 버리고 떠난 피란민이 100만명이 넘었다고 밝혔다. 미얀마 군부는 2020년 총선이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쿠데타를 일으킨 뒤 반군부 시위 등을 벌이는 민간인을 상대로도 유혈 진압을 계속해 왔다. 이라와디는 군부의 잔혹한 유혈 진압으로 미얀마 국민들의 증오가 심해짐에 따라 탈영자가 잇따르고 있다며 대대장급을 포함한 탈영병을 약 1만명으로 추산했다. 태국에 본부
코로나19 팬데믹과 외교 갈등 영향으로 폐쇄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주재 미국 총영사관이 철수 수순에 들어갔다. 9일 러시아 극동 지역 매체 프리마메디아 등에 따르면 현지 한 광고 사이트에는 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이 사용했던 건물 소유주가 임차인을 구하는 게시물이 올라와 있다. 1992년 9월 문을 연 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은 시내 푸쉬킨스카야 거리에 있는 한 건물을 사용했으며, 코로나19가 현지에서 확산세를 보이던 2020년 3월부터 업무를 중단했다. 이후 러시아와 미국이 정부 기관 해킹 문제 등으로 외교 갈등을 빚었으며, 2020년 12월 미국 정부는 블라디보스토크 미국 총영사관을 폐쇄했다. 프리마메디아는 미국 측이 총영사관 시설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5월까지 건물 임대료를 냈다고 보도했다. 현재 이 건물 소유자는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닌 다른 지역에 머무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