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유가는 산유국들이 증산 규모를 기존대로 유지한 가운데, 경기 침체와 수요 파괴 우려로 하락했다. 3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8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4.02달러(3.7%) 하락한 배럴당 105.76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원유 생산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지속으로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고개를 들면서 유가는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이날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는 정례 산유국 회의에서 8월 증산 규모를 기존에 합의한 하루 64만8천 배럴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는 이달 초 OPEC+ 산유국들이 합의한 규모와 같다. 당시 산유국들은 7~8월 증산 규모를 이전보다 50% 늘린 하루 64만8천 배럴로 상향했다. 이번 회의에서 9월 이후 증산 정책에 관한 논의는 없었다. 오는 7월 중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앞두고 OPEC+는 완만한 증산 속도를 유지하기로 한 셈이다. OPEC+의 다음 정례회의는 8월 3일에 열릴 예정이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제재로 원유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세계 경기 둔화 우려와 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파괴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수요 파괴는 제품의 가격이 너무 높아져 구매자들이 이를 감내하지 못해 결국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최근 들어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점도 수요 둔화 우려를 강화하고 있다. 글로벌 엑스의 로베르타 카셀리 원자재 담당 애널리스트는 마켓워치에 "러시아의 수출 차단, 리비아와 에콰도르의 공급 차질 등으로 원유 공급 위험이 여전히 커 보인다"라고 말했다.
10년물 美국채 가격은 10%↓…도이체방크 "18세기 후반 이후 처음" 미국 뉴욕증시가 52년 만에 최악의 상반기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30일(현지시간) 미국 경제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가능성과 씨름하는 동안 증시 등 금융시장도 최악의 기록들을 양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500대 기업의 주가를 반영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올해 들어 19.9%나 하락했다. 이는 상반기 성적으로서는 1970년 이후 최악의 하락 폭이다. 500대 기업 중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가 급등의 수혜 분야인 에너지 기업을 제외하고 애플과 디즈니, JP모건과 타깃 등 모든 분야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했다. 채권 시장의 성적은 더 저조했다. 모기지 금리 등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되는 10년물 미국 국채 가격은 10%가량 폭락했다. 채권 가격 하락은 금리 상승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채권의 수익률은 주식보다는 낮지만, 안정적인 수익을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같은 성적은 이례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도이체방크에 따르면 연초 6개월간 10년물 미국 국채의 성적이 이 정도로 저조한 것은 18세기 후반 이후 처음이다. '자산을 6대 4로 나눠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하라'는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른 투자자들은 금융시장 전체가 기대했던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는 느낌을 받았을 것이라는 것이 NYT의 지적이다. 도이체방크의 신용전략 연구 책임자인 짐 레이드는 "너무나도 힘든 상반기였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금융시장의 향후 전망도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40여 년 만에 최악인 물가상승이 기업들의 마진을 잠식하고 있고, 국제 공급망 교란 상태가 기업들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