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질병통제센터 소장, 폭리 방조 혐의로 조사보건장관 등 고위급 포함해 총 70여명 구금 베트남 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키트 비리 수사를 확대하면서 보건 관료들이 계속해서 공안에 체포되고 있다. 3일 현지매체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하노이시 질병통제센터(CDC) 소장인 쯔엉 꽝 비엣은 최근 공안에 체포돼 조사를 받고 있다. 비엣 소장은 현지 코로나 검사 키트 공급업체인 '비엣 A 테크놀로지'가 가격을 부풀릴 수 있도록 돕고 뇌물을 받은 혐의가 있다고 공안은 밝혔다. 공안은 또 레 티 빅 뚜옌 재무회계국장도 같은 혐의로 붙잡아 조사 중이다. 공안에 따르면 이들이 받은 뇌물 액수는 11억동(약 6천100만원)에 달하며, 하노이시에 총 90억동(약 5억원)의 손실을 끼친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비엣 A 테크놀로지의 판 꾸억 비엣 대표는 올해 초 공안 조사에서 검사 키트 가격을 45% 가량 부풀렸으며 사업을 도와준 사람들에게 8천억동(약 446억원)을 사례금으로 돌렸다고 진술했다. 이를 통해 자신은 5천억동(약 279억원)의 수익을 거뒀다고 그는 밝혔다. 베트남 정부의 코로나19 방역을 이끌어온 응우옌 타인 롱 보건장관도 검사 키트 판매와 관련된 비리 혐의로 지난 7일 공안에 체포됐다. 지금까지 코로나 검사 키트 비리와 관련해 구금된 인사는 총 70명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베트남 권력 서열 1위인 응우옌 푸 쫑 공산당 서기장은 최근 부패 척결에 대한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쫑 서기장은 지난달 30일 열린 반부패 캠페인 10주년 콘퍼런스에서 "부패 척결은 어느 때보다 강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되돌릴 수 없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는 또 "부패 방지를 위해 모든 권력이
아프가니스탄이 미국과 해외 동결 자금 해제를 위한 협상에 나선 가운데 천쉬 제네바 유엔본부 주재 중국 대표가 미국을 겨냥해 아프간의 자산을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3일 천쉬 대표가 1일(현지시간)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에서 아프간 인권 상황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천쉬 대표는 "미국은 아프간 곤경의 시발자로서 가장 중요한 책임을 지고 있다"며 "미국은 공공연히 아프간의 국가 자산을 약탈해 아프간 인민의 고난을 더욱 격화시켰다"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이 아프간에 대한 일방적인 강제 조치를 즉각 해제하고, 아프간 인민의 자산을 무조건 반환할 것을 촉구한다"며 "실제 행동으로 아프간 인민의 생활 개선을 도와 미국이 초래한 상처를 메우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은 탈레반이 지난해 8월 아프간을 재장악하자 자국 연방준비은행에 예치된 아프간 정부의 자산 70억달러(약 9조1천억원)를 동결했다. 동결된 아프간 정부의 해외 자산은 이를 포함해 90억달러(약 11조7천억원)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금 대부분은 국제 구호 단체 등이 아프간 지원을 위해 이체한 것이다. 이후 지난 2월 미국은 9·11 테러 희생자 유족들의 배상에 아프간 정부의 자금 70억달러 중 35억달러(약 4조5천500억원)를 사용하기로 했다. 동시에 미 당국은 동결된 자금 일부를 아프간 경제 안정에 활용하되 이 자금을 탈레반이 빼돌리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아프간 집권 세력인 탈레반은 최근 미국과 해외 동결 자금 해제를 위한 협상에 착수했다. 천쉬 대표는 이 밖에 국제사회를 향해 "아프간의 독립과 주권, 인민의 자주적 선택, 종교와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열려…4천명 참석해 정권 재출범 이후 최대"제재·자금 동결 해제하고 개발 지원 요청"…여성 교육 언급 안돼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이 지난해 8월 아프가니스탄 장악 이후 최대 규모의 지도자 회의를 연 뒤 국제사회에 자신들의 정부를 인정해 줄 것을 촉구했다. 3일(현지시간) 하아마통신 등 아프간 언론과 외신에 따르면 탈레반은 지난달 30일부터 전날까지 3일간 수도 카불 과학기술대에서 '로야 지르가'(Loya Jirga)를 열었다. 지르가는 아프간 전통 부족 원로회의를 뜻하며 로야 지르가는 지도자 선출, 새 통치 규범 도입, 전쟁 이슈 등 국가 중대사를 다룰 때 소집된다. 이들은 회의를 마무리하며 성명을 통해 "우리는 전 세계 국가들, 특히 이슬람 국가들에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에미리트'(탈레반 정부의 국호)를 인정해 달라"며 "모든 제재와 자금 동결을 해제하고 아프가니스탄 개발을 위한 지원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수니파 극단주의 조직 이슬람국가(IS)의 활동은 불법이며 이들에 대한 아프가니스탄의 방어는 의무라고 결의했다. 또 아프가니스탄은 이웃 국가들을 간섭하지 않을 것이며 다른 나라도 아프가니스탄을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은둔의 지도자'로 불리는 하이바툴라 아쿤드자다를 탈레반 최고 지도자로 재확인했으며 탈레반에 대한 충성심과 샤리아법을 법의 근간으로 하는 것을 절대적으로 수용한다고 다짐했다. 이번 최종 결의안에는 여성의 교육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아프가니스탄 행정부가 '이슬람법에 비추어' 정의와 소수자 권리뿐만 아니라 현대 교육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