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가 원숭이두창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 조처에 돌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한스 클루주 WHO 유럽사무소장은 1일(현지시간) "유럽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건수가 2주 만에 3배로 급증했다"며 "각국 정부와 시민사회는 원숭이두창이 지역을 넘어선 감염병으로 확립되는 것을 막기 위한 노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클루주 소장은 "원숭이두창의 확산세를 꺾으려면 서로 조율하에 긴급 조처에 돌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전 세계 원숭이 두창 확진 사례 중 90%가 유럽에서 나왔다. 31개국 확진 사례는 4500건에 달한다.클루주 소장은 "WHO는 현재로서는 원숭이두창이 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지 않았지만, 추후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원숭이두창은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일부 국가의 풍토병으로 알려진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지난 5월 이후 미국, 유럽 등에서 감염과 의심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신용현 한경닷컴 기자 yonghyun@hankyung.com
폭리 논란에 이어 대행료 연체까지…잡음 이어져 대금 못받은 대한상의 현지 대행사에 '동정론' 확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에도 불구하고 한·베트남 양국간 경제 교류를 이어가기 위해 진행한 특별입국 사업이 현지 한인들 사이에서 구설에 오르고 있다. 재작년 3월 베트남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외국인 입국을 원천 차단하자 경제단체인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인 4천여명을 대상으로 특별입국을 진행했다. 그러나 현지 소규모 대행사에 부가세를 포함해 7억원 상당의 대금 지급이 연체된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대한상의는 올해 3월 내부 감사에 착수했으나 대행사 간 분쟁일 뿐 자신들이 책임이 없다고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특별입국은 지난해에도 한인사회에서 가장 크게 논란이 됐던 사안이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의 지원을 받아 특별입국을 주관해온 현지 한인단체가 '폭리'를 취한다는 불만이 끊이지 않았다. 결국 대사관측은 지난해 10월말께 자체 조사를 통해 진상 파악에 나서는 한편 해당 단체에 대한 지원을 전격 중단했다. 한인사회 구성원들은 이처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베트남 특별입국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특히 한국의 대표적인 경제단체인 대한상의마저 대행료 연체 논란에 휩싸이자 특별입국 전반에 걸쳐 비용 및 대행사 선정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한상의가 주관한 특별입국에 참여했다가 대금을 받지 못한 현지 소규모 여행사인 SHV를 두고서는 '동정론'이 나오고 있다. SHV는 호텔신라 계열의 여행사인 SBTM이 지난 2015년 베트남 현지에 설립한 소규모 현지 사업 법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