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가 가격 인상과 판매 호조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달성했다.테슬라는 20일(현지시간) 이러한 내용의 1분기 매출액과 순이익을 공개했다.1분기 매출은 187억6천만 달러(23조1천600억 원)로 작년 동기(103억9천만 달러)보다 81% 늘었다.또 금융정보업체 레피니티브가 집계한 월가 애널리스트의 매출 추정치(178억달러)도 웃돌았다.순이익은 33억2천만 달러(4조1천억 원)로, 작년 동기와 비교해 7배 넘게 늘었다고 AP 통신이 전했다.매출액에서 원가를 뺀 전기차 부문의 매출총이익(gross margin)은 55억4천만 달러(6조8천억 원)였고, 매출총이익률은 32.9%로 뛰어올랐다.주당순이익은 월가 예상치(2.26달러)를 뛰어넘는 3.22달러였다.로이터 통신은 테슬라가 전기차 가격 인상과 기록적인 배송에 힘입어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전했다.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지난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상당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받고 있다고 밝혔고, 이후 테슬라는 중국,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가격을 인상했다.이어 지난 2일 테슬라는 1분기에 전기차 31만48대를 고객에게 인도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동기와 견줘 68% 증가한 수치다.다만, AP 통신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조업을 중단했던 중국 상하이 공장 상황과 원자재 가격 상승, 독일과 미국 텍사스 공장 증설 비용 등이 향후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테슬라는 이날 투자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상하이 공장이 제한적으로 생산을 재개했지만,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글로벌시장 지표 / 4월 21일 오전 6시 현재][미국증시 마감시황]뉴욕증시는 20일(현지시간) 혼조세를 보였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9.59포인트(0.71%) 오른 3만5160.79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2.76포인트(0.06%) 내린 4459.4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66.59포인트(1.22%) 떨어진 1만3453.07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시장은 1분기 실적 발표에 주목하면서 업종별로 희비가 엇갈렸는데, 특히 넷플릭스 주가 폭락이 나스닥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전날 가입자 20만 명 감소를 발표한 넷플릭스는 이날 35.12% 떨어졌다. 실적 발표 후 10명의 월가 애널리스트들이 잇따라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악화된 영향이다.이에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 월트디즈니,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도 각각 5%와 6%대 하락했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 기업 가운데 약 12%가 1분기 실적을 보고했으며 이중 80%가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었다.한편 미국 연방준비은행(연은)은 다시 한 번 긴축 통화 정책 시행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시사했다.이날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는 "나는 올해 연말까지 중립(금리)으로 가는 신속하게 속도를 낼 것이라고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전날 약 3%에 육박했던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이날 2.85%까지 내려왔다.[특징주]■ 기술주기술주는 엇갈린 행보를 보였다. 엔비디아(-3.23%), 메타(-7.77%), 알파벳(-1.51%) 등이 하락한 반면 트위터(1.17%), 인텔(0.38%), 마이크로소프트(0.37%)는 상승세를 보였다. ■ 전기차주테슬라(-4.96%), 리비안(-7.46%), 루시드 모터스(-2.52%) 등 전기차주가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 프록토앤갬블글로벌 생활용품 기업 프록터앤갬블은 실적 호재로 2.66% 뛰었다. ■ IBMIBM은 예상치를 웃도는 매출과 순이익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7.10% 상승했다.[유럽증시 마감시황] 유럽증시는 이날 상승 마감했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포인트 3.82(0.84%) 상승한 460.10에 마감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208.57포인트(1.47%) 오른 1만4362.03을 기록했다. 또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90.12포인트(1.38%) 뛴 6624.91, 영국 런던 증시의 FTSE100지수는 27.94포인트(0.37%) 상승한 7629.22에 마감했다.[중국증시 마감시황]중국증시는 이날 하락 마감했다.20일 A주 3대 주가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Wind지수에 따르면 상하이종합지수는 1.35% 하락한 3151.05p, 선전성분지수는 2.07% 내린 11392.23p, 창업판지수는 3.66% 떨어진 2363.65p로 장을 마쳤다.종목별로 보면 식품음료, 사회서비스, 미용관리 등 섹터가 상승했고 석탄, 부동산, 철강 등 섹터는 하락했다.[베트남증시 마감시황]베트남 증시는 이날 5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베트남 벤치마크 VN지수는 전 거래일에 비해 21.73p, 1.55% 급락한 1,384.72p로 거래를 마쳤다.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으로 구성된 VN30지수도 5.11p(0.35%) 하락한 1,435.50p로 마감했고 10개 종목 상승, 16개 종목이 하락했다.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 HNX지수는 12.65p 하락한 380.04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도 1.92p 떨어진 106.40p를 기록하며 거래를 마쳤다.산업별로 살펴보면 은행업 -0.52%, 증권업 -1.03%, 보험업 -2.54%, 건설·부동산업 -1.83%, 정보통신(ICT)업 0.23%, 도매업 -1.82%, 소매업 -1.05%, 기계류 -2.66%, 물류업 -1.33%, 보건·의료업 -1.35%, F&B업 1.00%, 채굴·석유업 -6.29%를 각각 기록했다. [국제유가]국제유가는 소폭 올랐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일 대비 0.19달러(0.2%) 상승한 배럴당 102.7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금]금 값은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6월물 금 선물 가격은 전장대비 3.40달러(0.2%) 하락한 온스당 1955.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더 많은 글로벌투자 뉴스는 [한경 KVINA]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연정기자 rajjy550@wowtv.co.kr
어제 넷플릭스 실적 발표와 함께 가입자 감소 소식이 전해지면서 글로벌 OTT시장에 위기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데요. 미국 현지에서는 어떤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까? 넷플릭스의 낙폭부터 살펴보죠. 오늘 넷플릭스의 종가는 전날보다 35% 떨어진 226.19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시가총액으로 치면 55억 달러, 우리 돈 66조원이 넘는 돈이 하루 사이에 증발했습니다. 코스피 시가총액 4위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시총이 53조원 정도 된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오늘 미국 증시에 어느 정도의 충격이 발생했는지 짐작하실 수 있을 겁니다. 넷플릭스의 실적 발표 이후 10곳에 달하는 분석기관에서 이 회사의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기관들이 넷플릭스에 대해 공통적으로 우려하는 것은 가입자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입니다. 1분기 기준 20만명이 감소했죠. 가입자 감소 현상에 대해서 넷플릭스는 "1억 개 이상의 계정이 한 계정으로 여러명이 돌려 쓰는 공유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며 이 공유계정에 추가 과금을 추진하기로 했지만 시장에서는 계정 공유가 가입자 감소 현상의 본질이 아닐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를 제한하더라도 오는 2024년까지 눈에 띄는 성장은 보이지 읺을 것으로 예측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매수였던 종전의 투자의견을 조정해서 언더퍼폼, 그러니까 시장 수익률보다도 이 회사의 주가 움직임이 더 좋지 않을 것으로 본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죠. 월가에서 넷플릭스의 성장이 예전같지 않을 것으로 보는 데에는 몇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요. 하나는 코로나 시대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콘텐츠를 소비해왔던 북미 지역의 소비자들이 이제는 점점 집 밖으로 나가면서 스트리밍 플랫폼 이용을 줄일 수 있다는 우려입니다. 제 뒤를 보시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와있죠. 앞서 나온 미국 여행 항공주들의 1분기 실적을 봐도, 코로나 시대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돌아오고 있다는 성적표를 받았던 점이 어쩌면 넷플릭스 쇼크를 예견할 수 있는 단서가 되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파이는 줄어드는데 새로운 콘텐츠들을 무기로 장착한 대형 경쟁업체들의 출현도 부담 요인입니다. 지난주에 상장한 거대 미디어 업체 워너브라더스-디스커버리는 오늘 6%, 디즈니는 5.5% 동반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또 요새 여러가지 이슈로 연일 언론을 타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sns를 통해 "넷플릭스가 플랫폼에 정치적 올바름을 주입하면서 콘텐츠가 보기 불편해지고 있다"고 꼬집어 비판했다는 점과, 이 내용이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은 점도 살펴볼 부분이 될 수 있겠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경우에는 트위터 인수에 불편할 정도로 총력을 다하고 있는데...월가에서는 머스크 행보에 대해 부정적 시각이 짙어지고 있지 않습니까? 그동안 트위터 인수 문제와 관련해서 일론 머스크에 대한 월가의 부정적인 시각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먼저 430억달러로 과연 인수를 할 수 있겠느냐 하는 점이었고, 또 하나는 자금 조달 과정에서 머스크의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테슬라 주식을 매각하는 식으로 가게 되면 결국 테슬라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는 논리입니다. 다만 시장에 새로운 소식이 알려졌는데, 일론 머스크가 단순히 주식담보 대출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아니라 사모펀드와 투자은행과 연합해 인수합병 펀드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겁니다. 블룸버그에서는 아폴로 글로벌매니지먼트와 모건스탠리가 일론 머스크와 연합해 트위터 인수에 나설 것이란 보도가 나왔습니다. 세부내용에 따라 테슬라의 주주가치가 생각보다 덜 희석될 수 있다는 뜻이 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아직 정확한 내용보다는 시나리오들이 시장에 여럿 던져진 상황이기 때문에 테슬라의 주가 행보는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오늘만 해도 테슬라 주가는 4.96% 하락 마감했지만, 애프터마켓에선 3% 가까이 뛰고 있습니다. 장 마감 후 테슬라의 실적이 시장 예상보다 좋게 나온 영향입니다. 테슬라는 1분기 매출 187억 6천만 달러, 주당순이익 3.22달러로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웃돌았습니다. 다시 인수합병 이야기로 돌아가자면, 사모펀드 등과 연대하는 M&A연합이 성사될 경우 기존에 머스크가 내놓았던 430억 달러라는 인수 제안가가 더 높아질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머스크가 초기에 제시한 이 가격은 트위터 주식을 한 주당 54.2달러에 사겠다는 뜻이었는데, 현재 트위터의 주가는 주당 46달러선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뉴욕에서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신인규기자 ikshin@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