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러시아간 회담 진전 시사 및 사태 해결위한 미중 고위급회담 전망 기대로
WTI 선물 전주말 대비 3% 하락한 배럴당 107달러 이하에서 거래
국제 유가가 14일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14일(현지시간)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 중질유(WTI) 4월 인도분은 지난 주말보다 3% 이상 하락한 배럴당 106달러 이하에서 거래됐다.
벤치마크 브렌트유 5월 결제분도 2.8% 하락한 109.37달러에 거래됐다. 브렌트유는 가까운 날짜의 계약인 근월물이 원월물보다 비싼 백워데이션 상태인데, 이는 공급이 빠듯하다는 뜻이다.
사진=한경DB급등세를 지속해온 국제 유가 선물이 소폭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와의 회담에 진전을 시사하고 우크라이나 사태해결을 위한 미중 고위급회담이 예정된데 따른 것이다.
국제 원자재시장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초반에 원유 중심으로 동요했으며 현재 밀 등 곡물시장으로 동요가 확산되고 있다. 원유 수요자들은 서방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피하기 위해 러시아 원유를 대체할 공급처를 찾고 있으며 일부는 미중 고위급 회담과 같은 외교적 해결노력을 지켜보며 관망중이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우크라이나간) 사태 해결 가능성 영역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말한 반다인사이트 창업자 반다나 하리는 "지난주부터 모스크바와 키이우간 회담이 대화와 타협 방향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우크라이나 전쟁 사태를 막기 위한 일련의 외교적 노력에도 중국의 코로나 확진 급등 등이 석유 수요 증가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주로 예정된 美연준의 금리인상과 중국 기술주들의 하락, 러시아 채무불이행 우려 속에서 14일 미국 증시 선물은 소폭 상승했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증시 개장 전 S&P500 선물은 0.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선물은 0.3%,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0.8% 지난 주보다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지난 몇 주간의 매도세가 주춤해졌다. 투자자들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러시아가 중국에 군사장비를 요청했다는 미국관리의 정보를 분석하고 있다.국제원자재 공급 붕괴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높은 가운데 16일로 예정된 연준의 금리인상에 대비하는 움직임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5년물 미국채는 2019년 5월 이후 처음으로 2%를 넘어섰고 10년만기 국채도 2019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연준이 이번 주 25bp(베이시스포인트) 인상을 시작으로 당분간 금리 인상 사이클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데 따른 것이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글로벌 팬데믹 이후 지속적으로 높았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원유 등 원자재가 풍부한 러시아가 고립되면서 한층 심화됐다. 전세계 증시가 올들어 평균 12% 하락한 것은 경기부양책 후퇴와 에너지 곡물 금속 등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이 세계 경제회복을 중단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투자자들은 또 러시아가 서방의 금융제재로 외환보유액의 절반 정도가 동결됨에 따라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할 지 여부에도 주목하고 있다.페더레이티드 허미스의 루이즈 더들리 글로벌주식포트폴리오매니저는 "시장심리 동요로 글로벌 증시가 이례적으로 변동성이 높고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기침체 위험성도 높다"면서 "단기적으로 러시아 원유에 대한 지정학적 불확실성 지속으로 시장이 계속 출렁거릴 것"이라고 밝혔다.금주 미 증시 주요 이벤트.-15일 중국 1년 중기대출 금리,경제활동 지표-15일 EIA 원유 재고-15일 FOMC(미연준시장위원회) 금리 결정, 제롬 파월 연준의장 기자회견-16일 영란은행 금리결정-17일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유럽중앙은행)총재, 이사벨 슈나벨 ECB 이사,이그나치오 비스코 코 이탈리아중앙은행 총재,필립 레인 수석이코노미스트 기자회견-18일 일본중앙은행 금리결정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우크라이나 국제 의용군을 자처해 출국한 해군특수전전단(UDT/SEAL) 출신 유튜버 이근 전 대위의 사망설이 온라인에서 확산한 가운데 한 누리꾼이 이를 반박하며 증거를 제시했다.14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근 안 죽음'이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글을 작성한 A씨는 이 전 대위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삼아 이씨가 생존해있다고 주장했다.글 내용에 따르면 A씨는 이 전 대위의 캐리커처를 그린 뒤 인스타그램에 올리며 이 전 대위를 태그했다. 인스타그램 게시글에 누군가를 태그하면, 메시지를 통해 해당 사실이 전해진다.태그된 사람이 이 메시지를 읽으면 '읽음'이라고 뜨는데, A씨가 공개한 사진 속에는 이 전 대위가 해당 게시글을 읽은 것으로 나와있다.이 전 대위의 계정이 해킹당한 것이 아니라면 그가 생존한 상태로 인스타그램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우리나라 외교부 역시 이날 "우크라이나에서 현재까지 우리 국민의 피해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14일(현지시간) 베트남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VN지수는 전 거래일에 비해 20.29p, 1.38% 급락한 1,446.25p를 기록하고 7주 최저치를 이어갔다. 베트남 증시관련 전문 매체 비엣스톡(Vietstock)은 "이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위기 고조와 인구 1천7백만명의 중국 선전시(市)가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로 인한 봉쇄 결정 등 지정학-지역적 위기로 인해 베트남 증시 투자자 심리도 크게 위축됐다"며 "VN지수의 단기적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호찌민거래소는 99개 종목이 상승, 284개 종목이 하락했다. 하노이거래소는 65개 종목 상승, 181개 종목 하락을, 비상장기업 UPCoM거래소는 135개 종목 상승 그리고 229개 종목이 하락했다.베트남증시 시가총액 상위30대 종목 바스켓 VN30지수도 16.04p(1.09%) 급락한 1,461.10p로 마감했고 6개 종목 상승, 22개 종목이 하락했다.중소형주 위주의 하노이증권거래소(HNX)도 5.63p 떨어진 436.57p를, 비상장기업 시장의 UPCoM지수는 0.32p로 비교적 소폭 하락한 115.05p를 기록하며 이날 장을 마쳤다.총 거래대금은 27조1천970억동(미화 11억9천만달러)으로 전 거래일에 비해 소폭 늘었다.산업별 증시 현황에서는 25개 섹터 중 3개 업종이 상승을, 22개 업종이 하락했다.은행업 -0.14%, 증권업 -3.67%, 보험업 -1.97%, 건설·부동산업 -0.70%, 정보통신(ICT)업 -1.42%, 도매업 -3.47%, 소매업 -1.45%, 기계류 -1.62%, 물류업 0.35%, 보건·의료업 -1.17%, F&B업 -1.82%, 채굴·석유업 -4.23%를 각각 기록했다.외국인 투자자들은 7천280억동 순매도하며 6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이어갔다.대니얼 오기자 danieloh@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