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바흐 "국제 스포츠계 '러시아 퇴출' 흐름도 당분간 유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이 3일(현지시간) "올림픽에서 우크라이나 국기가 높이 휘날리도록 하겠다"며 우크라이나 선수단에 대한 올림픽 참가 지원을 약속했다. 바흐 위원장은 이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만난 뒤 "2024년 파리 하계올림픽·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 선수들이 뛰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부터 IOC가 전쟁 피해국 선수단의 올림픽 참가 지원을 위한 기금을 적립하기 시작했다며 "현 250만 달러(약 32억원)인 기금 규모를 3배인 750만 달러(약 97억원)로 키우겠다"고도 약속했다.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 침공으로 우크라이나 스포츠계가 잔혹한 충격을 받았다"면서 바흐 위원장의 지원 의사에 사의를 전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어 "우크라이나 스포츠 선수 상당수가 군에 합류해 전장에서 국가를 수호하고 있다"며 "전투 중 숨진 선수·코치가 89명이다. 13명은 러시아군에 사로잡혔다"고 안타까워했다. 바흐 위원장은 또 국제 스포츠계의 '러시아 퇴출' 흐름도 당분간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러시아·벨라루스 선수를 국제 대회에 초청하지 않는 각 스포츠 국제기구의 조치를 포함, 전쟁 초기부터 지켜온 (스포츠계의)입장을 유지하겠다는 점을 젤렌스키 대통령에게 재확인해줬다"고 말했다. 앞서 2월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IOC는 종목별 국제 기구에 러시아·벨라루스 퇴출을 권고한 바 있다. 이런 조치 탓에 러시아 축구대표팀은 국제대회
현지 구조당국 "9명 부상·15명 실종…수색 작업 진행 중"전날 정상부 10℃ 역대 최고 기온…"최근 폭염이 사고 원인일 수도" 이탈리아 북부 돌로미티산맥의 최고봉 마르몰라다에서 3일(현지시간) 큰 빙하 덩어리가 떨어져나와 등반객들을 덮쳐 최소 6명이 숨졌다고 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이탈리아 뉴스통신 ANSA에 따르면 이탈리아 당국은 임시 집계 결과 사망자 외에 부상자가 9명나오고, 실종자가 15명으로 추정된다고 밝혀 사상자는 지금보다 늘어날 수 있다. 국립 알프스·동굴구조팀은 트위터에 마르몰라다 정상으로 가는 길에 자리해 있던 '세락(serac)'으로 불리는 큰 얼음덩이가 무너졌다고 밝혔다. 이 얼음덩이가 산비탈을 타고 아래로 굴러 떨어지면서 눈, 돌과 결합해 정상부의 인기 코스에 있던 등반객들을 덮쳐 대형 인명 피해를 낳았다. 구조팀은 현재 헬리콥터 5대를 포함해 인력과 물자를 총동원해 수색·구조 작업을 펼치고 있다. 부상자들은 벨루노, 트레비소, 트렌토 등 인근 도시로 후송됐다. 사고 당시 정확히 몇 명의 등산객이 현장에 있었는지 확인되지 않았다. 구조대원들은 실종 인원수를 파악하기 위해 주차장에서 차량 번호판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망자나 부상자의 국적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탈리아 언론은 희생자 가운데 외국 국적자들도 있다고 전했다. 산세가 수려해 '돌로미티의 여왕'이라고도 불리는 마르몰라다산은 3천343m 높이로 알프스의 지맥인 돌로미티 최고봉이다. 한여름에도 정상 주변을 덮은 만년설을 볼 수 있는 곳이지만 최근 몇 년간 빙하가 빠르게 녹아 없어졌다고 통신은 전했다. AFP 통신은 이번 참사가 마르몰라다 정상부의 기
개전초 러군에 타격…굴욕당한 러군, 전자전·방공망 개선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 러시아에 치명적인 타격을 안겨주며 주목을 받았던 우크라이나의 드론이 점점 전투 효율성을 잃고 있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전쟁 초기 예상치 못한 '복병' 드론에 굴욕을 당했던 러시아군이 점차 전자전 능력을 강화하는 등 드론에 대한 방어시스템을 개선한 데 따른 것이다. 잡지에 따르면 전쟁 초기만 해도 드론은 우크라이나군의 예상치 못했던 승리의 원천으로 관심을 모았다. 소셜미디어에선 감시용 소형드론에서부터 터키제 바이락타르 TB2 공격형 드론에 이르기까지 우크라이나의 드론들이 러시아의 최신예 전차를 파괴하는 등 러시아군을 무력화시키며 맹위를 떨치는 동영상이 자주 등장해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개전 초 드론 공격에 수모를 당한 러시아군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최근엔 방어시스템을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최근 들어 우크라이나 드론이 격추되거나 전자방해를 받아 임무 수행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점점 비효율적으로 돼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 해군분석센터의 군사용 드론 및 로봇시스템 전문가인 새뮤얼 벤데트는 "개전초 몇 달간에 비해 지금 러시아의 전자전과 방공망이 더 잘 조직화하고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벤데트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드론 피아식별을 위해 조기경보레이더를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드론의 교신을 방해하기 위해 전자전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드론을 격추하기 위해 기관총과 토르 미사일 시스템과 같은 방공망 등 다양한 무기를 동원하고 있다. 러시아 국방부는 최근 발표한 영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