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재 미국대사와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 등을 둘러싸고 '장외 난타전'을 벌였다. 4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니컬러스 번스 주중 미국대사는 이날 베이징의 칭화대학교가 주관하고 중국 정부가 지원한 제10회 세계평화포럼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나는 중국 외교부 대변인들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이 전쟁을 시작했다고 비난하는 것을 멈추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등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과 관련해 미국이 주도하는 나토의 동진에 따른 러시아의 안보 우려 증대를 거론해온 데 대한 불만 표시였다. 번스 대사는 또 "중국 외교부 대변인들은 우크라이나 안에 존재하지도 않는 미국의 생물무기 실험실에 대한 거짓말을 중단하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번스 대사는 "이런 것들은 모두 러시아에서 나왔는데, 불행히도 중국인들에 의해 채택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날 오후 중국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자오리젠 대변인은 "허위 정보와 거짓말을 일관되게 퍼뜨리는 것은 중국이 아닌 미국 측 관리"라며 "미국과 나토가 우크라이나 위기에서 어떤 역할을 했을까? 번스 대사는 중국 인민 및 세계 각국 사람과 더 많이 접촉하고 교류하며 그들의 목소리를 듣기 바란다"고 답했다. 자오 대변인은 이어 "미국의 해외 생물실험실 문제에 대해 중국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일찌감치 우려하고 의심을 품어왔다"면서 "왜 미국은 생물무기금지 협약의 사찰 체제 구축을 계속 독자적으로 막아왔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처럼 대사가 주재국 안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개적으로 주재국에 '쓴소리'를 하고 그 나라 외교 대변인이 역시 공개
러시아가 세계 전역의 핵폭발을 포착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국방부 산하에 '지질물리 모니터링 총센터'를 개설하고 운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4일(현지시간) 보도문을 통해 "이달 1일부터 국가 국방력 강화 목적으로 지질물리 모니터링 총센터가 24시간 근무 체제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어 "센터의 주요 임무 가운데 하나는 세계 전역에서 일어나는 핵폭발을 등록하고 기술적 성격의 지질물리 교란의 진원지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현대적 정보 분석 알고리듬을 이용하고 가능한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정보를 신속히 처리하고 총센터에 부여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는 지난달 1일 국방부 제12총국 산하 특별관리국 소속으로 '지질물리 모니터링 총센터'를 개설했다. 러시아의 이 같은 조치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이란·북한의 핵개발 문제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연합뉴스
전날 코펜하겐서 총격으로 3명 숨져…"범행 미리 준비한 듯" 덴마크 경찰은 4일(현지시간) 코펜하겐 쇼핑몰에서 전날 발생한 총격 사건과 관련, 테러 용의점은 없다고 밝혔다. AFP,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소렌 토마센 코펜하겐 경찰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사건을 테러 행위로 볼만한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 코펜하겐 청장은 아직 용의자의 범행 동기에 대해 언급할 수는 없다면서도, 용의자가 공격을 미리 준비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이들과 공모했다는 징후는 없다고 말했다. 전날 코펜하겐의 대형 쇼핑몰에서 총격 사건이 발생, 3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경찰은 사건 직후 현장에서 22세 남성을 체포했다. 당시 그는 소총과 탄약을 소지하고 있었다. 토마센 청장은 용의자가 정신과 의사들에게 알려진 인물이라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그는 희생자들이 무작위적으로 범행 대상이 됐고, 성별 등의 이유는 아니라고 말했다. 사망자 3명은 덴마크 국적 10대 2명, 덴마크에 거주하는 러시아 국적 47세 남성으로 확인됐다. 부상자는 덴마크 여성 2명과 스웨덴 국적자 2명 등 총 4명이다. 이들은 중상을 입었지만 지금은 안정적인 상태라고 경찰은 전했다. 전날 저녁부터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무기를 든 젊은 남성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듯한 몸짓을 하면서 '정신의학과 약물 치료가 효과 없다'고 말하는 모습이 담겼다. 경찰은 이 소셜미디어 속 남성이 용의자라고 판단했다. AFP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용의자 소유로 추정되는 계정을 폐쇄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