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우버'인 디디추싱의 전기차 자회사가 자금난에 파산 신청을 했다. 14일 중국 기업정보 사이트인 톈옌차에 따르면 디디추싱의 전기차 자회사인 베이징쥐뎬추싱유한공사가 지난 11일 베이징시 제1중급인민법원에 스스로 파산 신청을 했다. 이 회사는 디디추싱과 전기차 전문 업체인 리오토(리샹)가 51대 49 비율로 출자해 설립한 회사다. 디디추싱은 주력 사업인 차량 호출 중개 외에도 중국의 여러 자동차 회사들과 협력해 호출 차량 전용 전기차를 만드는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디디추싱은 최대 중국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比亞迪·BYD)와 협력해 지난 2020년 말 D1이라는 이름의 첫 호출 전용 밴형 전기차를 공개한 바 있다. 디디추싱은 개인 소비자를 주로 겨냥한 다른 중국 전기차 업체들과 달리 자사 차량 호출 플랫폼에서 영업하는 법인과 개인 기사들에게 특화된 영업용 전기차를 만드는 데 특화하는 틈새 전략을 구사했다. 디디추싱이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전기차 자회사의 파산 신청은 이 회사가 중국 당국의 전방위 압박으로 전반적 경영 사정이 크게 어려워진 상황과 관련이 깊어 보인다. 디디추싱은 민감한 빅데이터 유출을 우려하는 당국의 저지 메시지에도 작년 6월 미국 뉴욕증시 상장을 진행했다가 전례 없는 인터넷 안보 심사를 받게 되는 등 전방위 규제 대상이 됐다. 90%를 넘던 중국 내 인터넷 차량 호출 시장 점유율이 70%대로 급락하는 등 큰 어려움 속에서 결국 디디추싱은 지난 6월 상장 1년 만에 뉴욕증시 상장을 자진 폐지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디디추싱이 사이버보안법 등 규정을 위반했다면서 이 회사에 1조5천억원대에 달하는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연합
WSJ 보도…솔레이마니 암살 뒤 보복 걱정해 도입 당국, 남미 거점 삼은 대리세력 헤즈볼라 행보에 촉각 2020년 이란의 핵심 권력자를 암살한 미국이 보복을 우려해 본토 보안을 강화하는 특별작전을 운용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이(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질리언스 작전'(Operation Resilience)으로 명명된 대책에는 자국 전역의 연방정부 청사 보안, 해안경비대와 국경수비대 등의 순찰·경비, 사이버 공격 대응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WSJ은 이란에 대한 이 같은 보안 작전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주목했다. 그러면서 이슬람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가 이란의 대리세력으로서 미국 본토에서 공격을 저지를 가능성을 미국 안보당국이 심각하게 받아들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2020년 1월 3일 이라크 바그다드 공항 근처에서 가셈 솔레이마니 이란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을 무장 무인기(드론) 표적 공습을 통해 살해했다. 솔레이마니 사령관은 이란에서 군부 지도자를 넘어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와 버금갈 정도의 권력자로 평가받던 인물이었다. 이란은 같은 수준의 보복을 하겠다고 천명했고 미국 정보당국은 이란의 후속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실제로 이란 측이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마이크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 등 트럼프 행정부 시절 외교 강경파들을 미 본토에서 암살하려 했다는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미국 법무부가 공개한 지난 10일 공소장을 보면 이란혁명수비대 소속인 샤흐람 푸르사피(45)는 살인업자에게 30만 달러를 주고 볼턴 전 보좌관을 워싱턴DC 사무실 차고나 메릴랜드 자택에서 살해하려는
"오바마 참석 가능성…마크롱·메르켈도 참석 검토" 내달 27일 예정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국장(國葬)에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참석하는 방향으로 미일 양국 정부가 조율 중이라고 요미우리신문이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 설명을 토대로 14일 보도했다. 미국 정부는 일정 조율이 어려운 조 바이든 대통령 대신 부통령이 국장에 참석하도록 해서 안전보장 관련 법제를 정비하는 등 미일 동맹 강화를 위해 노력한 고인의 공적을 기리고 양국 관계를 중시한다는 의사를 재확인하려고 한다고 신문은 전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해리스 부통령이 국장 참석을 위해 일본을 방문하는 경우 그와 면담하려고 하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국제 질서 구축을 위해 미국과 일본이 해야 할 역할 등에 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보인다고 요미우리는 덧붙였다. 해리스 부통령은 국장 참석을 계기로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할 전망이다. 일본 정부는 아베 전 총리 국장 참석자 수를 6천 명 정도로 조율 중이며, 각국 저명인사가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국장 참석을 조율하고 있으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도 참석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을 전망이라고 통신은 덧붙였다. 기시다 총리는 주요국 전·현직 수뇌가 방문할 경우 이들과 면담을 할 것으로 관측된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 역시 참석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정진석 국회부의장 등의 조문단이 파견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