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6월 세계 첫 법정통화 채택 이래 손실액만 765억원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한 중미 국가 엘살바도르가 그동안의 대규모 투자 손실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비트코인 152만 달러(약 20억원)어치를 추가 매입했다.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엘살바도르는 오늘 비트코인 80개를 1만9천 달러(2천464만원)에 샀다"고 밝혔다. 부켈레 대통령은 "비트코인이 미래다. 저렴하게 팔아줘서 고맙다"고 덧붙였다. 이번 매입 전까지 부켈레 정부는 9차례에 걸쳐 비트코인 2천301개를 사들였다. 매입 총액은 1억560만 달러(1천370억원)로 추정된다. 비트코인 1개당 4만5천893달러(6천만원) 꼴이다. 이날 매입 가격은 과거 평균 매입 단가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저렴하게' 매입한 것은 사실인 셈이다. 엘살바도르 정부의 비트코인 투자 손익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사설 웹사이트 나이브트래커(https://nayibtracker.com/)에 따르면 엘살바도르 정부는 지금까지 투자액의 절반 이상(56%)을 잃었다. 손실액은 5천900만 달러(765억원)에 달한다. 한국산 스테이블 코인 테라·루나의 동반 폭락, 가상화폐 금융기관 셀시어스·바벨 파이낸스의 인출 중단, 가상화폐 헤지펀드 스리애로스(3AC) 부도 등 끝없는 악재로 가상화폐 가치가 속절없이 폭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년 6월 전 세계에서 최초로 비트코인을 자국 법정 통화로 채택한 부켈레 대통령은 비트코인에 대해 무한한 신뢰를 드러내고 있다. 올 6월 중순 비트코인이 2만 달러 밑으로 떨어지자 부켈레 대통령은 트위터에 "비트코인 시세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조언 하나 하자면, 차트 그만 쳐다보고 인생을 즐기시라. 비
미성년자 1명 가슴에 총상…현지 의사단체 "보안군이 의료시설도 공격" 작년 10월 쿠데타를 일으켜 군부가 권력을 장악한 북아프리카 수단에서 수단 보안군과 대규모 반군부 시위대가 30일(현지시간) 충돌해 최소 9명이 숨졌다고 AFP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날 수단 수도 하르툼과 하르툼 외곽, 쌍둥이 도시인 옴두르만에서 수만 명이 반군부 시위에 참여했다. 수단 보안군은 시위대를 해산시키기 위해 최루탄과 수류탄을 시위대를 향해 발사했고, 이 과정에서 시위 참가자 적어도 9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가운데 7명은 머리와 가슴에 총상을 입은 것으로 전해졌다. 수단중앙의사위원회는 "사망자 중에는 미성년자도 있다"며 "(숨진 미성년자)역시 가슴에 총알이 박혀 있었다"고 전했다. 시위대는 "우리가 죽더라도 군부가 우리를 통치할 수는 없다"라고 외치며 행진했고, 일부 시위대는 타이어에 불을 붙였다. 이에 수단보안군이 불을 잡기 위해 강력한 물대포를 발사하기도 했다. 의료시설도 이날 공격을 받았다. 수단중앙의사위원회는 "하르툼에 있는 병원을 습격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다"며 "수단보안군이 부상자가 이송된 병원 한 곳을 향해 최루탄을 발사했다"고 주장했다. 수단 군부는 지난해 10월 25일 쿠데타를 일으켜 압달라 함독 총리와 각료를 구금하고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시위대는 즉각적인 민정 복귀를 요구하고 있지만, 군부는 내년 7월에 총선까지 시위대의 요구에 응할 뜻이 없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캐나다 최대 항공사 에어캐나다가 7, 8월 두 달간 9천여 편의 항공편 운항을 줄일 계획이라고 CBC 등 현지 언론들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 달간 감축되는 항공편은 하루 평균 154편으로 전체 운항의 15% 정도다. 이 회사의 마이클 루소 최고경영자(CEO)는 "유감스럽게도 전세계적으로 항공업계가 정상화되지 않았다"며 "현재 국제적 여행 수요가 이전엔 볼 수 없었던 속도로 빠르게 되살아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축 편은 대부분 최근 운영이 심각한 혼란을 빚는 토론토와 몬트리올 공항의 국내선에 집중됐다. 이들 공항에서는 급증하는 여행객에 대응할 인력이 부족해 보안 검색, 출입국 심사, 탑승 수속 등 업무 전반에서 지연과 정체가 빚어지고 있다. 또 항공기 운항 지연과 결항이 이어지고 수하물 처리까지 감당하기 어려운 상태다. 캐나다의 2위 항공사 웨스트젯도 이날 여름 동안 일일 운항편을 25% 줄여 530여 편으로 감축할 방침이라며 여행 수요가 급증해 공항 수용 능력을 넘어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