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회의 결의서 천명…국제사회 인정받으려 노력 지속 아프가니스탄에서 집권한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정파 탈레반이 다른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 호라산(IS-K·ISIS-K)을 타락한 사이비 종파로 규정하고 현지 주민의 접촉을 금지했다. 3일(현지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탈레반은 전날 발표한 결의문에서 "우리는 IS-K라고 불리는 폭동선동 현상은 현시대와 맞지 않으며, IS-K는 우리 이슬람 국가에 타락을 퍼트리는 가짜 종파라는 것을 국가에 알린다"며 "이들과 어떤 도움이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금지된다"고 밝혔다. 탈레반은 "아프간은 이슬람 통치체제를 따르고 있으며, 이 체제를 겨냥해 무력으로 반대하는 행위는 반란과 타락으로 간주한다"고 강조했다. IS의 아프간 지부격인 IS-K는 탈레반이 지난해 8월 아프간을 장악한 이후 테러 수위를 높여왔다. 아프간 국영 통신인 박타르에 따르면 이 결의문은 탈레반이 지난달 30일부터 사흘간 수도 카불의 과학기술대에서 개최한 지도자 회의 '로야 지르가'(Loya Jirga)에서 나왔다. 탈레반은 회의 종료 후 발표한 성명에서 IS 활동은 불법이며 이들에 대한 아프가니스탄의 방어는 의무라고 결의하기도 했다. IS-K는 2015년 결성된 후 아프간에서 테러 행위를 지속하고 있으며 테러 사망자만 수천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니파인 IS-K는 미국 등을 대하는 태도가 온건하다고 수니파 탈레반을 비난해왔고, 아프간 내 소수 종파인 시아파를 이단으로 규정해 공격하고 있다. IS-K는 지난해 8월 26일에 카불 국제공항 자폭 테러로 180여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이어 10월에는 쿤두즈와 칸다하르의 시아파 모스크에서 잇따라 자폭 테러를 감행해 100명 이
미국 인기 팝 밴드 마룬파이브(Maroon5)가 올 11월 30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내한공연을 앞둔 가운데 공식 홈페이지에 일본의 욱일기를 형상화한 디자인을 사용해 논란을 빚고 있다. 3일 가요계에 따르면 마룬파이브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1월부터 진행되는 월드투어 일정을 공개했다. 한국에는 11월 30일 방문한다. 공식 홈페이지에는 일본 욱일기를 배경으로 한 안내 포스터가 띄워져 있어 파장이 일고 있다. 가운데 원을 중심으로 햇살이 사방으로 뻗는 디자인으로 일본 제국주의 상징인 욱일기 문양을 연상케 한다. 마룬파이브의 욱일기 논란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마룬파이브 멤버인 제스 카마이클은 존 레논의 아들 션 레논이 욱일기 사용을 비판하는 한국 누리꾼들을 조롱하는 글에 동조하는 반응을 보여 논란을 산 바 있다. 마룬파이브의 내한공연은 2019년 2월 이후 3년 9개월 만이다. 마룬파이브는 오는 11월 28일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30일 서울, 12월 4일 도쿄, 6일 오사카, 8일 마닐라, 10일 방콕을 방문할 예정이다. 신현아 한경닷컴 기자 sha0119@hankyung.com
하원 의장 선출된 장관 자리도 공석…야당 인사 임명할지 관심 장고 끝에 내각 인선을 마쳤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한 달 반 만에 다시 조직 개편 퍼즐을 맞추며 고심하고 있다. 지난 4월 연임에 성공한 마크롱 대통령은 신임 총리 임명부터 조각에 마침표를 찍기까지 한 달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지난달 중순 총선에서 낙선한 장·차관들이 교체 대상이 됐고, 과거 성폭행 의혹이 제기된 장관들까지 추가로 교체될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교체 명단에 확실히 이름을 올린 인사는 아멜리 드몽샬랭 생태전환부 장관, 브리지트 부르기뇽 보건부 장관, 쥐스틴 베냉 총리실 산하 해양 담당 국무장관(차관급)이다. 지난 6월 12∼18일 치러진 총선에 출마한 장·차관들은 여당 르네상스 소속으로 출마한 선거에서 승리하지 못하면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협약에 서명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여당 르네상스 소속으로 총선에 출마해 당선된 야엘 브라운 피베 해외영토부 장관이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면서, 그의 후임자도 물색해야 한다. 공교롭게도 이번에 장·차관 자리에서 물러나는 인사 4명이 모두 여성이라, 성비를 맞추는 것이 마크롱 대통령에게 또 다른 과제가 됐다. 다미앵 아바드 연대와 자립·장애인부 장관과 아바드 크리술라 자하로풀루 외교부 산하 개발·프랑스어권·국제협력 담당 국무장관에게는 성폭행 또는 성폭행 미수 의혹이 제기돼 교체 가능성도 주목된다. 다만 마크롱 대통령이 그간 법원에서 유죄 판결이 내려지기 전까지 범죄 혐의가 제기된 정부 인사를 해임하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당분간 자리를 유지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범여권이 하원에서 과반을 차지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