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예상치 웃도는 53만개
실업률은 4.6%로 소폭 떨어져
실업수당건수도 코로나 이후 최저
미국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고용이 늘고 실업률은 하락했다. 미국 경제가 코로나19 델타 변이로 인한 충격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노동부는 5일 지난 10월 미국에서 비농업 고용자 수가 전월 대비 53만1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망치인 45만 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31만2000명 증가한 9월에 비해서도 크게 늘었다.
특히 민간 부문에서의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공공부문 일자리는 7만3000개 줄었지만 민간부문 일자리는 60만400개 증가했다. 코로나19로 타격이 컸던 레저 및 숙박업종 등의 고용도 늘었다. 레저 및 숙박업 일자리는 전월 대비 16만4000개 증가했다. 전문·비즈니스 관련 업종에선 10만 개, 제조업에서는 6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겼다.
이날 발표한 10월 실업률은 4.6%로 집계됐다.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시장 전망치(4.7%)를 소폭 밑돌았고, 4.8%였던 9월 실업률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전날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10월 24~30일) 신규 실업수당 건수도 코로나1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CNBC방송은 “이 수치는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면서 고용시장도 회복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시간당 평균소득도 늘었다. 10월 시간당 평균소득은 지난해보다 4.9% 증가한 30.96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해 지난 2월 이후 가장 높았다. WSJ는 공급망 병목현상으로 물가가 증가했지만, 기업들이 구인난에 시달림에 따라 임금 인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분석했다.
이들 고용지표를 긍정적으로만 볼 수 없다는 해석도 나온다. 파업에 나서는 근로자들이 늘어나 기업들의 고용난은 여전하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올해에만 200여 건이 넘는 파업이 진행 중이다. 현재까지 2만9000여 명이 파업에 나섰다.
낮아진 노동생산성도 문제로 지적된다. 전날 노동부가 발표한 3분기 비농업 부문 노동생산성은 지난해 같은 분기 대비 5% 하락하며 1981년 2분기 이후 최대 감소폭을 보였다. 노동생산성은 일정 시간이 투입된 노동량과 그 성과인 생산량과의 비율을 뜻한다. CNN은 이에 대해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생산성이 저하된 데다 공급망 혼란이 해결되지 않아 생산이 지연됐다고 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유행이 1월이면 끝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화이자 이사회 멤버이자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을 지낸 스콧 고틀립 박사는 미국 정부가 직장내 백신 의무화 정책이 발효될 때 쯤이라고 예상했다. 5일(현지시간) CBNC와의 인터뷰에서 고틀립 박사는 "1월4일이면 팬데믹이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고 어쩌면 끝났을 수도 있다"며 "최소한 델타변이 확산은 지나간 상태로 엔데믹(endemic)단계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최소 100명이상의 직원을 둔 모든 회사에 대해 내년 1월 4일까지 백신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백신을 맞지 않은 노동자들은 정기적인 바이러스 검사를 받아야 한다. 또 미국 산업안전관리국(OSHA)의 새로운 규칙에 따라 다음달 5일부터는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직원들은 실내에서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고틀립 박사는 화이자의 신약이 백신을 대신하는 것으로 여겨져선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효과적인 치료제는 백신이 효과가 없는 사람, 백신을 맞았지만 감염된 사람 등에게 방어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강영연 특파원 yykang@hankyung.com
뉴욕증시는 10월 비농업 부문 고용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상승했다. 5일(미 동부시간) 오전 10시 정각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09.99포인트(0.86%) 오른 36,434.22를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3.86포인트(0.72%) 오른 4,713.92를,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90.25포인트(0.57%) 상승한 16,030.55를 나타냈다. 3대 지수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S&P500지수는 사상 처음 4,700을, 나스닥지수는 16,000을 넘어섰다. 투자자들은 10월 고용보고서와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관련 소식 등을 주목했다. 지난 10월 미국의 고용이 전달보다 크게 증가했으며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증가세를 보였다. 실업률은 4.6%로 전달 기록한 4.8%와 월가 예상치인 4.7%를 밑돌았다.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53만1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45만 명을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 9월 고용은 19만4천 명 증가에서 31만2천 명 증가로 상향 수정됐고 8월 고용도 36만6천 명 증가에서 48만3천 명 증가로 상향 수정됐다. 8~9월 수치는 이전보다 총 23만5천 명 더 늘어났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보다 0.11달러(0.4%) 오른 30.96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로는 4.9% 올랐다. 전달에는 각각 전월 대비 0.62%, 전년 대비 4.58% 상승한 바 있다. 이날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했다. 화이자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먹는 치료제가 입원율과 사망 위험을 89%까지 낮춰준다는 소식도 투자 심리를 개선했다. 화이자 주가는 10%가량 상승했다. 최근 들어 팬데믹 우려가 크게 줄어들면서 경제 재개와 관련한 종목들이 긍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다. 반면 코로나19 수혜주로 주목받았던 종목들은 부진한 실적에 주가도 하락 압력을 받고 있다. 이날 운동기구업체 펠로톤의 주가가 30% 이상 하락했다. 전날 장 마감후 예상보다 큰 손실을 발표한 데다 연간 실적 전망치를 하향했기 때문이다. 여행 관련 종목인 익스피디아 주가는 예상치를 웃돈 실적 발표에 10% 가량 올랐다. 업종별로 11개 섹터 중에 헬스를 제외한 10개 섹터가 모두 오르고 있으며, 산업, 통신, 부동산, 금융, 유틸리티,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모두 1%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고용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투자심리가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코너스톤 웰스의 클리프 호지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예상보다 비농업 고용자 수가 더 좋은 것에 시장이 환호하고 있다"라며 "증가세가 산업 전반에 널리 걸쳐 있으며, 제조업도 정말로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유럽증시는 상승했다. 독일 DAX지수는 0.27% 올랐고, 영국 FTSE100지수는 0.56% 상승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600지수는 0.30%가량 오르고 있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12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0.91% 오른 배럴당 79.53달러에, 1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0.51% 오른 배럴당 80.95달러에 거래됐다. /연합뉴스
어제 실적을 발표한 파파존스와 쉐이크쉑에 대한 엇갈리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먼저 파파존스는 어제 예상을 웃도는 좋은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주가도 13% 이상 급등했죠. 도이체방크는 주가 상승이 과도하다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홀드로 낮췄습니다. 도이체방크는 회사의 중장기 전망에 대해 긍정적이고, 경영진의 능력도 믿고 있지만 지금 주식 가격은 위험과 보상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반면 어제 예상을 밑도는 실적을 발표한 쉐이크쉑에 대해서는 투자의견이 상향됐습니다. 투자회사 BTIG는 3분기 약세가 전환점이되고 주가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높였습니다. BTIG의 피터 살레 연구원은 쉐이크쉑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기 위해 가격을 올리고, 경제 재개의 수혜자가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그러면서 목표주가를 100달러로 잡았습니다. 이는 목요일 종가보다 28% 높은 가격입니다.오늘 10월 비농업일자리수가 발표됐습니다. 53만100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는 시장 추정치인 45만명을 웃도는 수치입니다. 실업률은 4.6%를 기록했습니다. 시장은 4.7%를 예상했는데 이보다 낮은 겁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정부 일자리 7만3000개가 줄면서 민간고용은 60만4000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9월에 비해 급격한 증가로 노동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접객부문 일자리가 16만4000개 늘었는데요. 코로나 확산이 둔화되면서 외식 등에 나서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여기에 인금인상과 보너스 지급, 유연근무 확대 등 일자리 상황이 나아진 것도 구직 활동 증가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인텔 경영진들이 최근 1주일 동안 대규모 자사주를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텔의 고위직 인사 8명이 이번주 475만달러어치의 주식을 순매수 했는데요. 가장 많은 주식을 산 사람은 인텔 이사회의 의장인 오마르 이쉬락으로 지난달 말 평균 48달러정도에 2만주를 매입했습니다. 다른 이사 2명도 1만주 이상을 사들였습니다. 내부 인사들의 주식 매수에는 시장의 관심이 쏠리곤 합니다. 이미 스톡옵션 등으로 주식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임원들이 추가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은 회사 경영에 대한 자신감으로 해석되기 때문입니다. 향후 인텔 주가 흐름을 지켜볼만하겠습니다. 뉴욕=강영연 특파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