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포럼 3년만에 오프라인 개막…이재용·팀 쿡 등 글로벌 CEO 참석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한 이후 주최하는 첫 대규모 오프라인 국제회의인 중국발전고위급포럼(이하 발전포럼)이 25일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台) 국빈관에서 개막했다. '경제 회복: 기회와 협력'을 주제로 27일까지 열리는 포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등 세계적 기업 고위 인사 약 100명과 중국 중앙부처 지도급 인사, 국유 기업 및 금융기관 책임자, 국내외 저명 학자 등이 참석한다. 첫날 열린 '경제 정상회의'에서 연설자로 나선 한원슈 중국 공산당 중앙재경위원회 판공실 부주임은 "중국에는 지금 명확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나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압력이 없다"며 "통화정책을 펼 비교적 넓은 공간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부주임은 "중국은 올해 '5% 안팎 성장' 목표 달성에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외부의 억제와 탄압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만들겠다며 미국의 제재와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그는 "각국 기업들의 중국 투자를 환영하며, 외국 기업들이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중국 시장을 깊이 경작하길 기대한다"며 중국에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대어'를 낚을 수 있다고 말했다. 별도 세션에 참석한 팀 쿡 애플 CEO는 중국의 농촌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을 1억 위안(약 189억 원)으로 늘릴 계획이라며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아이들이 컴퓨터 코딩 능력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함께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중국은 이번 회의에서 미·중 전략경쟁과 연결된 글로벌 산업망 재건, 올해 '5%
힙킨스 총리 연내 중국 방문 가능성도 논의 중국 베이징을 찾은 뉴질랜드 외교부 장관이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신장 지역과 홍콩의 인권 상황, 남중국해와 대만 해협의 긴장 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25일(현지시간) 뉴질랜드 1뉴스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중국을 방문한 나나이아 마후타 뉴질랜드 외교부 장관은 이날 성명을 내고 친강 중국 외교부장 겸 국무위원과 회담을 가졌다며 "홍콩인의 권리와 자유의 침식, 신장 지역의 인권 상황 등에 대한 뉴질랜드의 깊은 우려를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남중국해의 정세와 대만 해협의 긴장 고조에 우려를 표명했다"라며 "(중국이) 러시아의 불법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살상무기 원조를 제공하는 것도 우려한다고 밝혔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친강 장관은 중국이 러시아의 핵심 동맹국이며,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세계 안정을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고 뉴질랜드 외교부는 전했다. 뉴질랜드는 미국과 영국, 호주, 캐나다와 함께 정보 공유 동맹인 '파이브 아이즈'(Five eyes)에 속해 있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4개국에 비해 중국에 온건한 목소리를 내왔다. 하지만 지난해 중국이 솔로몬제도와 안보 협정을 체결하는 등 남태평양에서 중국의 존재감이 커지자 뉴질랜드의 입장도 강경해지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설명했다. 다만 마후타 장관은 중국이 뉴질랜드의 최대 교역국이자 코로나19 이전에는 뉴질랜드 관광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동력이었다며 "이제 국경이 개방됨에 따라 올해는 학생, 관광객, 사업가들이 여행을 재개하면서 사람들이 다시 오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친 부장을 뉴질랜드로 초청했고 크리스 힙
CCTV "교잡종 벼 재배면적 5만㏊…생산량 2∼3배 증가" 중국이 자체 개발한 고품질 벼 종자와 재배 기술을 지원한 아프리카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의 식량난이 완화하고 있다고 중국중앙TV(CCTV)가 25일 보도했다. 인도양 남서쪽의 섬나라인 마다가스카르는 과거 주식인 벼 품종의 품질이 떨어지고, 재배 기술도 낙후해 해마다 외국에서 많은 쌀을 수입했다. 그러나 20007년 중국과 교잡종 벼 재배 기술 협력을 시작하고 2019년 본격적인 재배에 나서면서 식량난 해소의 길이 열렸다고 CCTV는 전했다. 중국이 보급한 교잡종 벼 재배 면적이 5만 ㏊(헥타르·1㏊=1만㎡)를 넘어섰으며, ㏊당 평균 생산량이 7.5t에 달해 기존 품종의 2∼3배로 증가하면서 아프리카 국가 중 교잡종 벼 재배 면적이 가장 넓고, 생산량도 가장 많은 나라가 됐다는 것이다. 한 현지 농민은 CCTV에 "토종 품종으로 농사할 때는 (수확량이) 900㎏에 그쳤는데 교잡종 벼 재배 이후 2t을 수확했다"며 "주위 사람들에게 교잡종 벼를 재배해 가난에서 벗어나라고 권한다"고 말했다. CCTV는 "마다가스카르는 한 해 70만t의 쌀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중국산 교잡종 벼 재배 면적을 10만㏊로 확대하면 자급자족이 가능해지고 식량 부족국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향후 3∼5년 이내에 전국 23개 지역에서 교잡종 벼를 전면적으로 재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중국은 1979년부터 아시아와 아프리카, 아메리카, 남태평양의 80여 개발도상국에 교잡종 벼 품종과 기술을 보급하고 1만4천여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며 "현재 수십 개 국가·지역에서 교잡종 벼가 재배돼 이들 국가의 식량안보에 기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미국과 전략적 경쟁을 벌이는 중국은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