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지프 제조사) 등 미국 자동차 업체 ‘빅3’가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신차 중 최대 절반을 전기자동차로 채우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친환경 정책의 핵심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를 내세웠다. 바이든 행정부의 지침은 미국 기업뿐 아니라 외국 기업들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2030년까지 전기차 전환 가속”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은 4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이들 3개사가 백악관과 함께 5일 핵심 차종을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203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신차 중 40~50%를 전기차가 차지하도록 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이들 3개사가 제시한 전기차 판매 목표는 시장의 예상치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현재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비중은 지난 5~6월 기준으로 3%밖에 되지 않는다. 컨설팅 업체 엘릭스파트너스는 6월 내놓은 보고서에서 “최근 세계 전기차 판매 비중이 2% 안팎을 기록하고 있다”며 “2030년에는 24%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빅3는 업계 관측보다 두 배 높은 목표를 세운 것이다.
하지만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대수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워즈인텔리전스에 따르면 미국에서 순수 전기차 판매 대수는 2017년 처음으로 연 10만 대를 돌파했고 2018년엔 20만 대를 넘겼다. 올 상반기에는 20만2375대가 팔리며 지난해 연간 판매 대수(23만7408대) 수준에 근접했다. 투자은행 UBS의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7%가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겠다고 답하는 등 수요는 충분하다는 평가다.
자동차 기업들은 이미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던 공장을 전기차용으로 개조하거나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을 짓고 있다. 배터리 공장과 관련해 GM은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포드는 SK이노베이션과 손을 잡았다. 앞서 GM은 2035년까지 미국 내에서 가솔린 경차 판매를 중단하고 전기차에 집중하겠다고 발표했다. 포드는 2030년까지 세계에 공급하는 신차 중 최소 40%를 전기차로 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의 모회사인 스텔란티스도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하는 신차 중 40%를 배기가스 저배출 차량으로 계획하고 있다고 최근 발표했다. 미 자동차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엘릭스파트너스는 2025년까지 전기차 관련 투자 규모가 3300억달러(약 376조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의 압박 강화
바이든 행정부는 미 자동차 기업들에 전기차로의 전환을 압박해왔다. 기업들에 2030년까지 신차 중 최소 40%를 전기차로 채운다는 계획을 자발적으로 수립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전기차가 미래라는 말은 농담이 아니다”고 트윗하기도 했다. 앞서 바이든 대통령은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소비자 인센티브 제공 등을 위해 예산 1740억달러를 요청했다.
자동차 업계에선 조만간 바이든 행정부가 새로운 연비 기준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전 행정부의 기준은 평균 54.5mpg(마일/갤런)였다. 연료 1갤런(약 3.7L)을 써서 54.5마일(약 87.7㎞)을 주행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후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는 40mpg(실제 29mpg)로 기준을 완화했다. 바이든 행정부의 기준은 트럼프 전 행정부보다 엄격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연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자동차 기업은 벌금을 내야 한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이 5개월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국 기업 최고경영자(CEO)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5일 지적했다.신문은 쿠팡 창업자 김범석 이사회 의장의 갑작스러운 사임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을 지지 기반으로 둔 문재인 정부가 통과시킨 중대재해처벌법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쿠팡은 지난달 17일 경기 이천의 물류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한 지 5시간 만에 보도자료를 내고 김 의장이 한국 쿠팡의 모든 공식 지위에서 사임하고 미국 쿠팡Inc의 CEO로서 해외 사업에 전념한다고 밝혔다.일부 소비자는 김 의장 사임이 화재사고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라며 쿠팡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다. 쿠팡은 김 의장의 등기이사 사임 시점이 5월 31일이라고 해명했다.내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 산업재해로 근로자의 사망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업주나 창업자가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 경제계가 “정부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있다”며 반발했지만 지난 1월 국회를 통과했다. 종업원의 과로사가 잇따른 쿠팡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 1순위로 거론된다.김 의장이 지난 3월 뉴욕증시에 쿠팡을 상장시킬 때 이미 사임을 예고했다는 분석도 있다. 쿠팡은 당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제출한 상장 신청서를 통해 “한국에서는 경영 간부가 구속돼 형사책임을 지는 등의 특수한 리스크가 있다”고 사업 위험을 설명했다. 미국 국무부의 투자환경보고서도 한국의 노동 관련 법 규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전했다.신문은 한국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 CEO들이 주고받는 ‘OINK’라는 은어도 소개했다. ‘온리 인 코리아(only in Korea)’의 줄임말로 한국에만 존재하는 사업 위험을 조롱하는 표현이다. 기업 총수와 경영자가 구속되는 사례가 드물지 않은 한국의 사법제도를 비판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고 전했다.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에서 친환경차 판매를 대폭 늘리며 순항한 것으로 나타났다.5일 현대차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현대차의 미국 내 친환경차 판매는 4만1813대로 전년 대비 313.6% 급증했다. 소매 판매로 한정하면 증가율은 399%를 기록했다.기아도 올해 들어 미국에서 친환경차 1만9320대를 팔아 전년 대비 2배에 가까운 94.8%의 증가폭을 보였다. 양사를 합치면 6만1133대로 전년에 비해 205.2% 늘어났다. 친환경차가 판매 호조를 견인한 셈이다.판매된 친환경차는 종류별로는 수소전기차 187대(103.3%), 전기차 1만336대(207.7%), 하이브리드 5만610대(205.3%)로 고른 증가세를 기록했다. 차종별로 보면 아이오닉(구형) HEV와 니로 HEV가 각각 1만1441대, 1만767대로 1만대를 넘겼고 최근 투입된 투싼 HEV, 싼타페 HEV, 쏘렌토 HEV 등 친환경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도 4000~7000대씩 팔렸다.현대차그룹은 추후 전용 전기차인 아이오닉5, EV6를 비롯해 제네시스의 G80 전동화 모델을 투입해 판매량을 더욱 늘려간다는 방침이다.한편 현대차그룹의 올해 1~7월 미국 판매량은 94만8723대로 전년 대비 44.9% 늘어났다. 현대차는 19% 증가한 6만8500대를, 기아는 33.6% 늘어난 7만99대를 판매했다.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 판매도 크게 늘었다. 지난달 미국에서 팔린 제네시스는 3배 이상 늘어난 5180대로, 월 판매량 5000대를 처음 넘겼다.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내연기관 위주의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전환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월스트리트저널 등 현지 매체들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자동차, 스텔란티스 등 미국 3대 자동차 업체들이 5일 백악관에서 전기차 비중을 2030년까지 40~50%로 끌어올릴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스텔란티스는 올해 초 미국·이탈리아 합작사인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프랑스 푸조(PSA)가 합병한 자동차 업체다. 미국에서 지프, 램, 크라이슬러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소식통은 이들이 발표할 목표에 100% 배터리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이 포함됐으며, 다른 자동차 기업들도 비슷한 목표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기차 충전소 확대, 구매 보조금 지급 등 연방정부와 각 지방정부의 지원 확대가 전기차 목표 비중을 높일 수 있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이날 백악관에서는 자동차 연비 기준 강화도 발표될 전망이다. 향후 2년간 연비를 3.7%씩 높이도록 하는 안이 예고됐다. 상원에서는 전기차 전환을 가속하기 위해 연방정부가 각 주와 지방정부에 전기차 충전소 확대 예산을 75억 달러까지 지원하는 계획도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 전기차 판매량은 신차 시장의 3% 수준에 그칠 정도로 미미하지만, 자동차 업체들은 각자 전기차 전환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난달 스텔란티스는 2030년까지 신차 판매의 40%를 저배출 가스 차량으로 채우겠다고 밝혔고 GM은 2035년 미국에서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중단할 예정이다. 포드 역시 2030년까지 글로벌 생산량의 40%를 전기차로 전환하기로 했다.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