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물 부족 위험으로 인한 전세계 소비재기업들의 손실이 2000억달러(약225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일환으로 수자원 관리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영국계 투자은행 바클레이즈가 4일 식음료, 농업, 담배 등 세계 필수소비재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적 관심사는 ‘물 부족’이 될 전망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특히 기후위기가 물 부족의 ‘리스크 증폭자(risk multiplier)’에 해당하는 만큼 모든 기업들이 수자원 공급망 붕괴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P글로벌레이팅스의 베스 버크스 지속가능금융 이사도 CNBC에 “물 부족은 정말 심각한 위험”이라면서 “가격이 저렴한 자원이기 때문에 전형적인 외부 위험요소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물은 경제산업 전반에 꼭 필요한 자원이라는 가용성에 비해 공짜거나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고갈이 현실화되기 전까진 자원의 희소성이 제대로 반영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CNBC는 “2010년 이후 2019년까지 미국 30대 도시의 평균 물 가격은 60% 올랐으며, ‘캘리포니아 물 선물’은 최근 300%까지 상승세를 기록 중”이라고 전했다. 바클레이즈는 물 부족 등 직간접적인 비용까지 포함하면 물의 진짜 원가는 현재 기업들이 지불하고 있는 가격보다 3~5배 높은 것으로 추산했다. 이같은 위기감은 이미 기업들 사이에서 공유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지난해 기업 보고서에서 수자원 관련 언급량이 2019년 대비 43%나 급증했다.

바클레이즈는 “기업에 ESG 경영을 요구하는 투자자들은 탄소배출량 축소 등 다른 환경적 요인에 더 중점을 두고 있지만, 수자원 위기로 인한 재정적 손실은 탄소배출 위기로 인한 손실보다 3배 더 높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수자원 위기로 인해 필수소비재 기업들이 겪고 있는 손실 규모가 이미 2000억달러에 달한다는 추산도 내놨다. 또 해당 기업들이 사전적으로 수자원 보호 조치에 나설 경우 소요되는 비용은 110억달러로 예상되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엔 18배 이상의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고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영국 농업기업 ABF, 미국 육가공 업체 타이슨푸드 등이 물 부족 위험으로 인해 22%에 달하는 EBITDA(상각전영업이익) 손실을 기록하고 있고 글로벌 생활용품기업 유니레버와 구강케어 브랜드 콜게이트, 영국 생활용품업체 레킷벤키저 등도 40~50%의 EBITDA 손실을 입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S&P글로벌레이팅스는 “물 부족이 기업 신용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현재까지 드문 편이지만, 더 미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예로 독일의 2018년 가뭄 사태를 들었다. 당시 독일에서는 가뭄으로 중요 운송경로 중 하나인 라인강의 수심이 낮아지면서 화물 운임비가 대폭 오르고 공급망 차질이 빚어졌다. 또 최근 인도에서는 코카콜라가 신규 생산설비를 세우려다 해당 시설에 소요되는 막대한 수자원 양에 대한 비판이 잇따르면서 사업이 중단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