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뉴욕 증시는 이제 5월을 마감하려하고 있습니다. 거래일 기준으로 사흘 남겨놓은 상황에서 25일(현지시간) 다우는 0.24%, S&P 500지수는 0.21% 떨어졌고 나스닥은 0.03%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이달 초만 해도 '5월에 팔고 떠나라'라는 증시 격언이 크게 들렸는데 시장은 잘 버텨내고 있습니다. 다우는 이달 들어 이날까지 1.3% 올랐고 S&P 500 지수는 0.2% 상승했습니다. 나스닥만 2.2% 하락한 상태입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이번 주말은 미국인들이 가장 기다리는 연휴, 메모리얼데이 주말입니다. 사흘연휴인데요. 미국에는 '메모리얼데이 투 레이버데이'(memorial day to labor day)라는 말이 있습니다. 5월 마지막 월요일인 메모리얼데이, 그리고 9월 첫 번째 월요일인 레이버데이까지의 기간을 일컫는 말로 가장 날씨가 좋은 휴가철을 뜻합니다. 즉 메모리얼데이는 본격적인 휴가철의 개막을 알리는 것이죠. 월가 관계자는 "경제 재개 관련주 중심의 흐름, 즉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이런 본격적 휴가기간에 더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때문인지 이날 대부분 주식이 보합권에 머물렀지만 항공 크루즈 등 경제 재개주들은 약진했습니다. 유나이티드항공은 이달 들어 국내 여행용 항공권 매출이 2019년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고 밝힌 뒤 1.5% 상승했습니다. 보잉도 1.4% 올랐습니다. 노르웨이지안크루즈와 로얄캐리비안크루즈도 각각 3% 이상 뛰었습니다.

틸먼 퍼티타 골든너겟 호텔&카지노 회장은 이날 CNBC에 출연해 "라스베이거스 골든너겟 카지노는 이달 지난 75년 역사를 통 들어 가장 좋은 달을 맞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그동안 많이 오른 에너지 금융 소재 업종 등이 내림세를 주도했고, 기술주는 보합세를 보였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세븐 리포트의 톰 이사예는 보고서에서 "시장은 기본적으로 다음 큰 이벤트, 즉 Fed의 테이퍼링 일정을 지켜보는 패턴을 유지하고 있다. 테이퍼링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장기 전망이 명확해질 때까지 지금 같은 유형의 변동성이 조금씩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S&P 500 지수는 지난 6주 동안 4050~4200 사이 박스권에 머물고 있습니다. 어제도 장 막판 4200을 넘자 차익실현 매물이 나왔습니다. 오늘도 이런 상황이 이어지며 시장은 시간이 흐를수록 하락폭을 키워 4188에 마감했습니다. 4월 마지막 거래일인 4월30일 지수가 4181이었으니 한 달 간 박스권에서 오락가락하고 있는 것입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월가 관계자는 "이번주 들어 인플레이션 걱정이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없어진 게 아니다. 투자자들은 여전히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에 대해 많은 걱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들 별 다른 대안이 없어 주식을 갖고 있지만 그리 공격적이지는 못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집값은 Fed가 테이퍼링에 나서야할 이유 중 하나를 추가했습니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가 집계한 3월 주택가격지수는 연율로 13.2% 올라 전달의 12%보다 높아졌습니다. 이는 2005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다만 4월 신규 주택판매는 전월 대비 5.9% 줄어든 연율 86만3000채에 그쳤습니다. 주택 경기가 차가워서가 아니라 매물이 없는 탓입니다. 뜨거운 집값은 백악관에서도 이슈가 됐습니다. 이날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현재의 집값 상승은 주택 비용과 주택시장 접근성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주택시장을 모니터링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월가에선 집값 상승률이 주택 버블이 터지기 전인 2005년 수준으로 올라갔지만, 아직 '버블은 아니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당시엔 금융시장 버블이 주택 가격을 폭등시켰지만, 지금은 많은 저축을 가진 가계의 실수요, 그리고 낮은 금리가 집값을 높이고 있다는 것이죠.

이에 대해 월가 관계자는 "이렇게 집값이 오르고 있는데, 왜 Fed가 계속 월 400억 달러씩 모기지 증권을 사고 있는 지 이해할 수 없다"며 "집값이 안정적으로 오른다면 경기에 좋지만 버블이 만들어진다면 경기에 찬물을 부을 수 있다는 점에서 Fed는 모기지 증권 매입을 중단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Fed는 현재 매달 모기지증권 400억 달러, 채권 800억 달러 등 1200억 달러 규모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모기지증권 매입을 줄이는 건 바로 테이퍼링입니다.

이날 Fed의 리처드 클라리다 부의장은 "다가오는 회의(FOMC)에서 그럴 시간이 올 것이다. 우리는 자산구매 속도를 축소하는 것에 대해 논의 할 수 있는 그런 시점에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시점은) 우리가 얻는 데이터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 총재는 재미있는 말을 했습니다. "우리는 테이퍼링 논의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논의에 대한 논의는 상당기간 길어질 것"(We are talking about talking about tapering. And will be talking about talking about for a long time)이라고 말한 겁니다. 이는 제롬 파월 의장이 작년 6월 "금리 인상은 생각하는 것조차 생각하지 않고 있다"(not even thinking about thinking' about rate hikes)고 말해 유행이 됐던 것을 빗대어 말한 겁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이는 거꾸로 해석하면 테이퍼링으로 인한 시장 위험이 당장 불거지진 않겠지만 지속적으로 논의가 이어지면서 투자심리를 누를 것이란 얘기도 됩니다.

실제로 '돈을 빼지는 않으면서, 뜨거워진 투자 심리를 누르는 건' Fed의 의도한 작전일 수도 있습니다. 만약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면 현재의 유동성을 계속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적은 자산 버블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CNN이 집계하는 공포와 욕심 지수는 이날 33까지 낮아졌습니다. 지난 2월 초만 해도 90을 넘었었는데 투자 심리가 굉장히 차분해진 것입니다. 이는 변동성 지수(VIX)에서도 드러납니다. VIX는 다시 18까지 떨어졌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이런 상황은 이날 나온 콘퍼런스보드의 5월 소비자신뢰지수에서도 나타났습니다. 5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17.2로 지난 달(117.5)와 비슷했습니다. 다만 지난 4월 수치가 121.7에서 117.5로 하향 조정됐습니다. 세부 지수를 보면 5월 현재 여건 지수는 전월 131.9에서 144.3으로 올랐지만, 5월 기대 지수는 전월 107.9에서 99.1로 떨어졌습니다. 콘퍼런스보드는 "단기 낙관론은 다소 후퇴했다. 향후 몇 달 동안 성장 속도가 줄어들고 고용시장 여건이 약해질 것이라는 예상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뜨거웠던 원자재도 차분해졌습니다. 이날 옥수수 선물은 6% 급락했습니다. 구리와 철강 등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암호화폐도 비슷한 상황입니다. 전날 일론 머스크가 '북미 채굴자 협의회'를 만들었다는 소식에 다시 4만 달러 안팎까지 올랐던 비트코인은 이날 3만7000~3만8000 달러 수준에서 거래됐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최근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움직임에서 전반적인 시장의 투자 심리를 엿보고 있습니다. 가장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을 가진 투자자들이 몰려있는 시장이니까요. 비트코인이 추락하면 기술주 등 위험자산도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등 상관관계가 커진 탓입니다.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별별 얘기가 많습니다. 이날은 '비트코인 가격과 전세계의 마이너스 금리 국채 규모가 상관관계가 높다'는 분석(다니엘라 디마티노 부스 머니스트롱 설립자)이 나왔습니다. 쉽게 말해 각국 중앙은행이 찍어내는 돈이 많으면 많을수록 비트코인 가격이 오른다는 얘기입니다. 부패한 '화폐의 대안'으로 여겨지기 때문이겠지요. 또 시장에 돈이 넘치면 비트코인 투자가 늘어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마이너스 국채 규모는 지난해 12월 18조 달러에서 최근 13조 달러까지 낮아졌습니다. 세계 경기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면서 일부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올리고 캐나다처럼 테이퍼링을 하는 곳이 나타나면서 금리가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이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는 논리입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역시 비트코인의 가장 큰 적은 중앙은행과 정부 등 당국입니다. Fed의 라엘 브레이너드 이사의 24일 연설은 의미심장합니다. 브레이너드는 "디지털 달러는 일반 대중이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새로운 중앙은행 화폐가 될 것"이라며 Fed가 지원하는 디지털 달러의 장점으로 안전성, 효율성, 국가간 거래 등을 꼽았습니다. 그러면서 기존 암호화폐에 대해선 결제 시스템의 여러 문제들, 특히 잠재적 사기 가능성 등을 꼽으며 위험성을 강조했습니다.

그의 연설문을 자세히 읽어보면 비트코인 등 민간 주도의 암호화폐를 Fed의 디지털 달러로 완전 대체하겠다는 뜻이 읽힙니다. 그것도 코인데스크가 주최한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밝혔습니다. 일종의 '선전포고'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도 마찬가지인데요. 지난 21일 중국 국무원은 류허 부총리 주재로 금융안정발전위원회를 열고 비트코인의 거래와 채굴을 모두 '타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에 맞서지 말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이 비트코인 등을 막아야할 이유는 명확하며, 중국 정부는 이렇게 원하는 것은 과거 어떤 식으로든 얻어냈다는 겁니다.

WSJ은 중국이 금융시장의 확대되는 레버리지와 그에 따른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왔다는 점, 시진핑 주석이 작년 9월 유엔총회에서 '중국의 탄소배출량이 2030년 정점을 찍고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힌 점, 그리고 2014년 이후 역외 자본유출을 지속적으로 막아왔다는 점 등을 들어 중국이 지속적으로 암호화폐 생태계를 규제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014년부터 중국에서 급성장하던 P2P 대출 시장을 박살낸 사례를 들었습니다. 이 시장은 2018년 1조위완 규모에 달했지만 중국 당국이 개입하기 시작하자 급격히 축소됐습니다. 중국 당국은 작년 말 P2P대출 시장이 사라졌다고 발표했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비트코인과 기술주, 테이퍼링의 삼각관계
이란 문제도 있습니다. 이란 관영 타스통신은 이날 이란 정부가 최근 잇단 정전 사태와 관련해 처음으로 사과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재재를 받고 있는 이란에선 달러 확보를 위한 암호화폐 채굴이 급증해 올해 일일 전력 수요가 지난해보다 약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2∼24일 수도 테헤란을 포함한 주요 도시에서 정전이 이어졌습니다.

올 들어 이란의 암호화폐 채굴량이 전체 채굴량의 4.5%까지 늘었다는 통계가 나옵니다. 이란도, 미국도 이런 상황을 가만히 지켜볼 수 없는 그런 상태입니다.

WSJ은 또 다른 기사에서 "비트코인이 실제 화폐가 되거나 사회에 생산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고 질타했습니다. 암호화폐가 제대로 사용된 사례가 없고 지불수단으로서 은행 송금보다 더 느리고 환경오염도 심하다는 겁니다. 그러면서도 "연속극, 스마트폰 게임 등 인생의 많은 것들도 마찬가지다. 쓸모없는 자산이 가치가 반드시 가치가 없어야하는 건 아니다. 쓸모없지만 반드시 쓸모없는 것은 아니라는 현실을 받아들여야할 수도 있다"고 결론을 냈습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