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주도 이틀간 정상 40여명 화상회의…친서방, 美 복귀 환영하며 화답
중·러, 특정국 아닌 유엔 역할 강조…개도국은 원조·지원 확대 요구
11월 COP26까지 새 감축목표 놓고 진통 예상…바이든 "이제 시작일 뿐"
기후변화 대응 상석에 다시 앉은 미국…시큰둥한 중국·러시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도한 기후 정상회의가 23일(현지시간) 이틀간 일정을 끝내고 막을 내렸다.

38개국 정상 등 40명의 정상급을 초청해 화상으로 진행한 이번 회의는 미국이 기후변화 위기 대응의 국제 협력을 다시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한 의미가 있다.

상당수 국가가 이를 환영하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상향 조정하며 화답했다.

반면 미국의 전략적 경쟁자인 중국과 러시아는 마지못해 회의에 참석한 듯한 인상을 줬다.

새로운 감축 목표 제시 대신 기존 입장을 반복하며 미국을 견제하는 발언까지 해 미국과 껄끄러운 관계를 반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이 초래한 기후변화의 피해자라면서 적극적인 지원과 원조를 요구했다.

기후변화 대응 상석에 다시 앉은 미국…시큰둥한 중국·러시아
◇상석 되찾은 미국에 친서방 화답…'두번 탈퇴전력' 美, 신뢰회복은 과제
이번 회의는 바이든 대통령의 주도로 성사됐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돌아왔고 주도할 준비가 돼 있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며 "백악관이 세계 지도자를 함께 모을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경제대국의 적극적 참여를 촉구하면서 미국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2005년 대비 50~52% 감축하겠다는 공격적 목표를 제시했다.

국제적 기후변화 목표 달성을 위해 미국의 지출을 배로 늘리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바이든 대통령의 판을 뒤집는 발표에 정말 흥분됐다"고 말할 정도로 친서방 진영은 일제히 환영했다.

이에 화답하듯 유럽연합(EU), 일본, 영국, 캐나다 등은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줄줄이 상향 조정했다.

한국도 해외 석탄발전에 대한 공적 금융지원 중단 방침을 밝혔다.

워싱턴포스트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여전히 백악관에 있다면 일어날 수 없는 장면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기업 활동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 등을 들어 미국이 2015년 서명한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탈퇴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첫날 이 협약에 복귀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CNN방송은 기후변화에서 미국의 신뢰성 확보가 과제라고 지적했다.

미국은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이던 2001년에도 기후변화협약인 '교토의정서'에서 탈퇴한 전력이 있다.

CNN은 기후변화를 두 번이나 탈퇴한 미국은 신뢰를 쌓을 필요가 있다며 "미국이 21세기 저탄소 경제를 이끌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많은 다른 나라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변화 대응 상석에 다시 앉은 미국…시큰둥한 중국·러시아
◇'갈등 관계 반영?' 무덤덤한 중국·러시아…美 주도 견제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각종 현안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진 상황이라 이번 회의의 관심사 중 하나는 시진핑 중국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뒤늦은 참석 결정이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두 정상은 기존 목표를 재확인하는데 그쳤고. 오히려 미국을 견제하는 듯한 발언까지 내놨다.

시 주석은 다자주의를 견지해야 한다며 유엔을 핵심으로 한 국제 체계의 수호를 강조했다.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책임이 크다고도 언급했다.

푸틴 대통령 역시 유엔 체제에서 이뤄진 파리기후협약, 기후변화협약(UNFCCC), 교토의정서 이행을 강조했다.

공히 유엔 체제하의 국제 협력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미국의 기후변화 위기 주도에 대한 불편함이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도 새로운 감축 목표를 제시하는 대신 청정 발전소의 공격적 배치를 강조한 정도였다.

온실가스 배출 1~4위는 중국, 미국, 인도, 러시아 순이다.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세 나라는 진전된 감축 목표를 내놓지 못한 셈이다.

블룸버그는 미 당국자는 얼마나 많은 감축 약속이 이뤄지느냐가 성공의 지표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며 이 기준에 비춰 정상회담은 빛을 발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기후변화 대응 상석에 다시 앉은 미국…시큰둥한 중국·러시아
◇11월 COP26 징검다리 성격 회의…바이든 "시작에 불과"
개발도상국은 온실가스 배출 역사가 중요하다면서 선진국이 과거 탄소 배출에 책임을 지려면 적극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쪽에 초점을 맞췄다.

모디 총리는 미국과 다른 보유국이 저소득국의 석탄발전 등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도록 약속한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집행할 것을 요구했고,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부유국이 더 많은 원조를 약속할 때만 온실가스 배출 목표 강화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은 2030년까지 불법적 삼림 벌채를 종식하겠다면서도 선진국의 금융 지원 문제와 연결시켰다.

다만 이번 정상회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변화 문제를 내팽개친 후 미국이 구심점 역할로 복귀했다는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회의 성사 자체로 의미가 있다.

오는 11월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향후 10년간 새로운 목표를 채택하는 과정이 예정된 가운데 이번 회의는 각국의 입장을 직접 청취하고 점검하는 징검다리 기능도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가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