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등급 '취약'으로 한 단계 내려
코로나 봉쇄로 인간 접근 줄어든 영향도
멸종위기 네팔 코뿔소의 컴백…100여 마리 번식 성공
멸종위기에 처했던 네팔의 외뿔 코뿔소가 약 6년 만에 100여 마리 더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인간의 야생동물 보호 노력이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AFP통신, BBC방송에 따르면 네팔 당국이 지난달부터 3주 동안 남부 지역의 국립공원 4곳에서 개체 수 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재 서식 중인 외뿔 코뿔소는 752마리로 집계돼, 645마리였던 2015년보다 107마리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네팔과 인도에서 주로 목격되는 외뿔 코뿔소는 지난 수십 년 동안 멸종 직전의 위기에 몰렸다.

네팔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 더해 1950년대에는 주민들이 코뿔소가 많이 서식하는 치트완 지역으로 대거 이주하면서다.

당시 코뿔소의 개체 수는 수천 마리에서 100마리 이하로까지 크게 줄었다.

그러나 네팔 당국이 코뿔소의 멸종을 막기 위해 불법 수렵을 엄격히 통제하고 서식지 인근에 병력 수백 명을 배치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끝에 개체 수를 상당 수준으로 늘리는 데에 성공했다.

멸종위기 네팔 코뿔소의 컴백…100여 마리 번식 성공
멸종위기 네팔 코뿔소의 컴백…100여 마리 번식 성공
' />

BBC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자연 보전을 위한 히말라야 국가(네팔·인도·부판·파키스탄 등)들의 노력이 긍정적인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가했다.

하리바드라 아차리아 네팔 국립공원·야생보호부 고위 임원은 "이번 조사 결과에 우리 모두 매우 흥분했다.

호랑이에 이어 이제 코뿔소의 개체 수도 올라갔다"고 말했다.

이번에 확인된 코뿔소의 90%는 네팔 남부 치트완 국립공원에서 서식하고 있다.

이 공원은 호랑이와 코끼리, 표범, 악어 등의 보금자리이기도 하다.

코뿔소가 개체 수를 늘려온 덕에 멸종위기 등급은 '위기'(endangered)에서 '취약'(vulnerable)으로 한 단계 내려갔다.

네팔 정부 관계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동물들과 서식지 보존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멸종위기 네팔 코뿔소의 컴백…100여 마리 번식 성공
지난해 각국이 봉쇄령을 내리자 여행객들이 줄면서 코뿔소들이 좀 더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다는 것이다.

반면 코로나19 봉쇄를 틈타 수렵에 나선 밀렵꾼들 때문에 코뿔소 4마리가 목숨을 잃기도 했다.

1994년부터 5년마다 진행되는 코뿔소 개체 수 조사는 원래 지난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때문에 1년 연기됐다.

이 조사를 위해 전문가 약 350명이 직접 숲을 돌아다니면서 성별, 크기, 뿔, 귀 모양 등을 구분해 개체 수를 기록했다.

코뿔소의 개체 수가 상당히 늘었다는 결과에도 전문가들은 여전히 위기에 취약할 수 있다며 경고하고 있다.

코뿔소 생물학자 나레시 수베디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지난 6년 동안 코뿔소의 개체군 성장률은 이전 조사 기간에 확인된 것보다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코뿔소의 연간 개체군 성장률은 2011∼2015년 5%를 기록했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약 3%에 그쳤다.

이에 전문가들은 노령화, 영역 다툼, 홍수로 인한 익사, 질병 등 자연 요인으로 인한 폐사가 급격히 늘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멸종위기 네팔 코뿔소의 컴백…100여 마리 번식 성공
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죽은 코뿔소는 약 26마리로, 2015년 이후 죽은 코뿔소는 모두 약 150마리에 달한다.

또 홍수로 인해 일부 코뿔소가 네팔에서 인도로 휩쓸려 떠내려가기도 했다.

보호구역의 공간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늘어난 코뿔소의 개체 수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도 하나의 과제로 떠올랐다.

세계자연기금(WWF) 네팔 지부의 가나 구룽 대표는 "개체 수가 늘어난 호랑이와 코뿔소는 널리 배회할 수 있는 광활한 지역이 필요하다"면서 "공원의 경계선에서 인간과 갈등을 빚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네팔 한 국립공원 인근에서는 주민 10명이 호랑이들의 공격으로 숨졌으며, 반대로 보호구역 인근 고속도로에서 호랑이들이 빠르게 달리는 차량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