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2027년 대만 침공 정보' 재언급…"시진핑 결정했단 뜻은 아냐""시진핑, 러 우크라전 고전에 놀란듯…우크라전, 향후 6개월이 고비" 윌리엄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대만 문제와 관련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야심을 과소평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번스 국장은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조지타운대학 특강에서 "중국은 미국의 가장 큰 지정학적 도전"이라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시 주석이 대만 문제에 대해 다소 각성한 것 같다면서도 대만과 관련해 야욕을 유지하고 있다는 게 CIA의 평가라고 설명했다. 번스 국장은 러시아 군과 무기 체계가 우크라이나에서 "대단히 형편없는 실적"을 보인 데 시 주석이 놀라고 불안해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를 교훈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군은 지난해 2월 24일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금세 수도 키이우를 점령할 것이라고 자신했으나 이는 오판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번스 국장은 시 주석이 2027년까지 대만 침공을 준비할 것을 자국군에 지시했다는 정보를 지난해 10월에 이어 다시 언급했다. 그는 '정보 차원'에서 이같이 알고 있다면서 "이는 시 주석이 2027년 혹은 다른 해에 침공을 실행하기로 결정했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번스 국장은 "하지만 이를 통해 시 주석이 진지하게 이 사안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과 그의 야심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번스 국장이 발언 중이던 이날 미국에서는 중국의 것으로 보이는 정찰 기구(스파이벌룬)가 나타나 본토 상공을 휘젓고 다녀 미 당국이 격추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번
최하층민 집단 강간·피살 취재하다 체포돼 취재 활동 중 체포된 한 인도 기자가 재판 없이 28개월간 수감된 끝에 풀려났다고 타임스오브인디아 등 인도 매체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전날 인도 기자 시디키 카판이 인도 북부 우타르프라데시주 러크나우의 수감 시설에서 보석으로 석방됐다. 그는 2020년 10월 우타르프라데시주에서 최하층민 달리트(불가촉천민) 출신 여성의 피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이동하다가 경찰에 체포됐다. 숨진 여성은 상위 카스트 남성들에게 집단 강간을 당한 후 피살됐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였다. 달리트는 인도 힌두교의 카스트 신분제에조차 포함되지 못하는 천민 집단으로 지금도 사회적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진다. 카판은 이슬람 극단주의 조직 인도대중전선(PFI) 소속으로 폭동 선동을 기도했다는 이유로 기소됐다. 하지만 이후 재판은 열리지 않았고 카판은 수감된 상태에서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카판이 수감되자 인권운동가들은 그의 석방을 요구했고 일부에서는 항의 시위도 열렸다. 이후 그는 지난해 9월 대법원에서 보석 석방 판결을 받았으나 또 다른 돈세탁 혐의가 제기되면서 석방이 늦어졌다. 카판은 전날 석방 후 "나는 죄가 없는 언론인"이라며 "앞으로도 언론인으로 일을 하면서 가혹한 법 체제에 맞서 계속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외신은 2014년 힌두 민족주의 성향의 나렌드라 모디 정부가 들어선 이후 인도 내 종교 갈등이나 무슬림 등 소수 집단에 대한 압박 수위가 높아졌다고 지적한다. 특히 인도는 언론자유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나라 중 한 곳으로도 꼽힌다. 국경 없는 기자회(RSF)가 집계하
다이하쓰 카라왕에 연 14만대 생산공장 건설…2024년 12월 완공 예정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도요타 그룹이 자동차 생산 공장을 증설한다. 3일(현지시간) CNN 인도네시아 등에 따르면 도요타와 인도네시아 기업 아스트라 인터내셔널의 합작 법인인 아스트라 다이하쓰 모토(ADM)는 2조9천억 루피아(약 2천400억 원)를 투자해 서자바주 동카라왕 지역에 연 14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ADM의 쿄다 야스시 대표는 2024년 12월 완공될 예정이라며 새로운 공장은 탄소 배출량을 기존 공장과 비교해 최대 5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설 공장에서는 '쌍둥이 차'인 도요타의 러시와 다이하쓰의 테리오스, 도요타의 아반자와 다이하쓰의 제니아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도요타와 도요타의 자회사인 다이하쓰는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을 절반가량 점유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자동차공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두 회사의 판매량(도매 기준)은 도요타가 33만1천410대, 다이하쓰가 20만2천665대다. 두 브랜드를 합치면 인도네시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50.9%에 이른다. 생산량 기준으로도 두 브랜드는 80만4천여 대를 생산해 전체 인도네시아 자동차 생산량의 54.7%를 차지한다. 이런 상황에서 도요타는 인도네시아에 대규모 전기차 생산 공장을 설립해 전기차 수출 기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도요타는 인도네시아에 5년간 18억 달러(약 2조2천억 원)를 투자해 전기차 생산에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제조업 강국을 꿈꾸는 인도네시아는 자동차 산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자동차 생산량은 147만대, 수출은 47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