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노동계가 법정 최저임금을 물가상승률에 맞춰 7% 인상할 것을 요구하고 나서 고용주 단체가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 호주 일간 디오스트레일리안에 따르면 호주노동조합협의회(ACTU)는 이날 고물가로 인한 저소득 노동자들의 생활비 압박을 완화하기 위해 올 7월부터 적용되는 2024 회계연도(2023.7~2024.6) 최저임금을 7% 인상하라고 정부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ACTU는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공정근로위원회(FWC)에 제출한 건의안을 통해 지난 2년 동안 연 7% 이상 치솟는 물가 때문에 저소득 노동자들의 실질임금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지난 1·2월에도 소비자물가는 각각 작년 동월 대비 7.4%, 6.8% 급등한 만큼 최저임금을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다. ACTU의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호주의 최저임금은 현행 시급 21.38호주달러(약1만8천621원)에서 1.5달러 오른 22.88(약 1만9천928원)달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최저임금과 산업별 단체협약이 적용되는 저소득 노동자 260만명의 주당 수입이 57달러(약 5만원)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셸리 맥마너스 ACTU 서기는 "통계 숫자 이면에는 임대·유류·식료품·보육 등 필수재 가격 급등으로 끼니를 거르거나 치료비를 아껴야 하는 사람들의 고통이 있다"면서 "이들에게 최저임금 7% 인상은 경제적 생존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ACTU의 주장에 대해 고용주 단체들은 "과도한 요구"라고 난색을 보였다. 앤드루 맥켈라 호주상공협회(ACCI) 대표는 "물가상승이 겨우 진정되고 있으나 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다"면서 "인플레이션에 맞춘 임금 상승은 소사업체들의 수익성과 고용환경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우려했
원주민 관련 장 추가…개헌안 문안도 공개 호주 정부가 호주 원주민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위한 대변 기구를 세우는 내용의 헌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30일(현지시간) 일단 디오스트레일리안 등에 따르면 마크 드레퓌스 법무부 장관은 이날 의회에 개헌안을 제출하며 호주 건국 문서에서 원주민이 배제된 것을 시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의 땅, 언어, 문화를 인정하지 않는 정부 정책이 이들의 문화에 지속해서 깊은 상처를 입혔다"라며 "이 같은 역사의 결과로 많은 사람이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모두 깨끗한 마음과 양심으로 투표에 임할 것이며 호주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개된 개헌안은 헌법에 호주 원주민 관련 장(chapter)을 새로 추가하는 것이다. 새로 들어가는 장은 '애버리지널(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섬 주민을 호주 최초의 주민으로 인정한다'라는 문구로 시작한다. 이어 이들을 대변할 '보이스'(Voice)라는 헌법 기구를 세우고 이들과 관련된 문제를 연방 의회와 행정부에 이야기할 대표를 세울 수 있으며 의회는 이와 관련된 법을 제정할 수 있도록 하는 3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호주 정부는 이날 공개된 개헌안을 국회에 마련된 법안 심사 위원회에 회부해 검토하길 바란다며 6월 말까지는 국회를 통과해 10∼12월 중 국민 투표에 부쳐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보수 연합인 국민당은 개헌안을 반대하겠다고 밝혔지만, 또 다른 연합이자 제1야당인 자유당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개헌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개헌을 위한 국민 투표가 진행된다. 이
대만 국방부 "3월 들어 중국 군용기 341대·함정 109척 탐지"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과 마잉주(馬英九) 전 대만 총통이 각각 미국과 중국을 방문 중인 상황에서 중국 인민해방군의 대만을 겨냥한 군사적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대만의 자유시보는 30일 대만 국방부 발표를 인용해 전날 오전 6시부터 이날 오전 6시까지 대만군이 대만 주변 해역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함정 4척을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대만군은 해당 해역에 자국 함정들을 파견해 인민해방군 소속 함정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고 지대함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등 대응 조치에 나섰다고 대만 국방부가 밝혔다. 그러나 이 기간 대만 주변 공역에서 인민해방군 소속 군용기들의 활동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대만 국방부는 덧붙였다. 앞서 차이 총통은 9박 10일간 일정으로 미국 뉴욕과 로스앤젤레스를 경유해 중미 수교국 과테말라와 벨리즈를 방문하기 위해 29일 오전 미국 방문길에 올랐다. 차이 총통은 미국 현지시간으로 29일 오후 전용기편으로 첫 경유지인 뉴욕 JFK국제공항에 도착해 로라 로젠버그 신임 미국 재대만협회(AIT) 회장, 샤오메이친 주미 대만 대표 등의 영접을 받았다. 지난 27일 중국에 도착한 마 전 총통은 나흘째 중국 방문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앞서 대만 국방부는 28일 오전 6시부터 29일 오전 6시까지 대만 주변 공역 및 해역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군용기 16대와 군함 4척을 포착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대만군은 지난 27일 오전 6시부터 28일 오전 6시 사이에도 인민해방군 군용기 9대와 함정 4척을 대만 주변에서 탐지한 바 있다. 대만 국방부에 따르면 이달 들어 30일 오전 6시까지 대만군은 대만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