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무부가 갑작스레 ‘기술 수출 규제’ 카드를 꺼내면서 틱톡 매각에 급제동을 걸고 나섰다. 틱톡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중국에 허를 찔린 미국 정부가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중국 상무부가 지난 28일 첨단기술을 보유한 중국 기업이 해외에 회사를 매각할 경우 정부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는 새로운 규정을 발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수출 통제 대상 기술 목록을 업데이트했는데 인공지능(AI), 드론, 유전공학 등을 신규로 추가했다. 이에 따라 AI 등 첨단기술을 보유한 틱톡은 회사를 미국 기업에 매각하려면 중국 당국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그러자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는 즉시 성명을 내고 “우리는 상무부가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수정해 발표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며 “앞으로 ‘중화인민공화국 기술 수출입 관리 조례’와 ‘중국 수출 제한 기술 목록’을 엄격하게 준수해 기술 수출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는 틱톡 매각에 제동을 걸기 위한 행동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새 규정은 노골적인 금지는 아니더라도 매각 지연을 노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 게다가 바이트댄스가 즉각 새로운 규정을 따르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중국의 새 수출 규제가 틱톡 매각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틱톡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오는 9월 15일까지 미국 기업에 회사를 매각해야 한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인수전엔 마이크로소프트(MS), 오라클, 월마트 등 다양한 기업이 뛰어들었다. 하지만 중국의 이 같은 발표로 인수 작업에 사실상 급제동이 걸렸다.

최근 미·중 간 갈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설사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에 허가를 요청해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한 기한 안에 승인될 가능성은 낮다. 중국이 강경 카드를 꺼내든 가운데 시한 내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 미 정부는 틱톡 운영을 금지하거나 매각을 대선 이후로 미루는 등 타협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내다봤다. 일각에선 매파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중국 기업 알리바바 등에 대한 보복성 제재를 할 가능성도 제기된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