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메콩강 가뭄 원인에 대한 상반된 내용의 보고서 발표
전문가 "메콩강, 미중의 지정학적 전장으로 변했다는 신호"

'동남아의 젖줄'로 불리는 메콩강 상류 지역에 건설된 중국의 댐들이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의 새로운 전장(戰場·싸움터)이 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관측이 나왔다.

메콩강 상류 11개 중국댐, 미·중갈등의 새 '싸움터' 되나
남중국해의 영유권 분쟁에 이어 메콩강 수자원 문제가 중국과 동남아 국가, 나아가 중국과 미국 간 갈등의 새로운 전선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얘기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일 '미국과 중국의 다음 전장: 메콩강의 중국 댐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메콩강 수자원 문제를 둘러싼 갈등을 소개했다.

메콩강 상류 11개 중국댐, 미·중갈등의 새 '싸움터' 되나
SCMP에 따르면 수자원 전문가인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의 세바스티안 비바 연구원은 메콩강 지역의 가뭄의 원인에 대해 미국과 중국이 3개월 사이에 각각 대립하는 연구 보고서를 내놓은 점을 지적한 뒤, "이러한 대립하는 보고서들은 그 강(메콩강)이 미국과 중국가의 지정학적 전장으로 변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의 물 분야 연구 및 컨설팅 전문 업체인 '아이즈 온 어스'(Eyes on Earth)는 지난 4월 펴낸 보고서를 통해 메콩강 상류 지역의 11개 중국 댐들이 470억㎥의 물을 저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수력발전과 관개용수를 위해 메콩강 상류에 댐을 건설함으로써 중·하류 지역이 가뭄을 물러왔다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5개 메콩강 유역 국가들의 주장에 손을 들어준 것이다.

이 연구는 유엔의 후원을 받는 '지속가능인프라파트너십'(SIP)와 '메콩강하류지역협력이니셔티브'(LMI) 의뢰로 작성됐다.

LMI는 2009년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5개 메콩강 유역 국가들과 공동으로 설립한 기구다.

이에 맞서 중국 측은 지난 7월 말 정반대의 주장이 담긴 보고서를 펴냈다.

칭화(靑華)대와 중국 수자원연구소가 공동으로 펴낸 보고서는 중국의 댐들이 우기에는 메콩강의 홍수를 완화하고 건기에는 저장된 물을 방류함으로써 가뭄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의 댐들이 위치한 상류 지역이 하류 지역보다 가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반박했다.

메콩강 전체 유역에서 가뭄이 발생할 가능성이 7% 정도이지만, 중국 댐들이 위치한 메콩강 상류의 가뭄 발생 가능성이 12%로 높다는 주장이다.

중국의 티베트에서 발원하는 메콩강은 미얀마·라오스·태국·캄보디아·베트남 등을 거쳐 남중국해로 유입되는 길이 4천20㎞의 강이다.

중국에서는 란창(瀾滄)강으로 불린다.

이 유역에는 동남아인 6천여만명이 거주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