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유화·기계·태양광 등서 시장 확대 기회
"영향 크지 않을 것" 지적도…"대다수 서민은 가격에 민감"
중국산 불매 나선 인도…"한국 기업에 반사이익 가능성"
중국과 국경 무력 충돌로 인해 인도 내 중국산 불매 운동이 거세지면서 현지 한국 기업이 반사이익을 볼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모바일, 가전, 기계류 등 여러 분야에서 '저가' 중국산과 치열하게 경쟁하던 한국 제품에 시장 확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한국무역협회 뉴델리지부 관계자는 20일 연합뉴스에 "한국과 중국 기업은 인도 시장의 모바일, 디스플레이, 일반 기계, 석유화학 등의 분야에서 경쟁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관련 분야의 한국 기업은 인도 내 중국산 보이콧 움직임으로 인해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인도의 최대 수입국이다.

인도 상공부 자료 따르면 인도의 2018∼2019 회계연도(매년 4월 시작) 대(對)중국 무역적자 규모는 536억달러에 달한다.

특히 중국산 전자기기류, 활성 원료의약품(API)이 인도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9.6%, 38.4%나 된다.

인도 정부는 이런 무역 불균형에 그간 불만이 많았다.

와중에 이번 사태가 터지자 관세 인상, 무역협정 재검토 등 여러 방안을 동원해 중국산 수입을 본격적으로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현지 언론은 전했다.

이미 중국 업체가 추진하던 한 철도 건설 프로젝트가 취소됐고, 국영 통신사에는 중국 제품 사용 금지령까지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전인도무역협회(CAIT) 등 민간단체도 중국산 불매 운동을 벌이는 중이고 전국 곳곳에서는 중국 제품을 불태우는 시위가 계속되고 있다.
중국산 불매 나선 인도…"한국 기업에 반사이익 가능성"
이런 분위기는 한국·중국 업체 간 경쟁이 가장 치열한 모바일 분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6년가량 현지 시장 1위를 달리던 삼성전자는 2017년 4분기부터 2위로 밀려난 뒤 중국 브랜드와 힘겨운 싸움을 벌이는 중이다.

반면 중국은 저가 물량 공세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크게 확대한 상태다.

스마트폰 판매 1위 샤오미를 비롯해 비보, 오포 등이 상위권에 포진 중이다.

하지만 이런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는 최근 인도 내 반중 정서를 고려해 당분간 광고 활동을 중단하기로 했다.

마케팅 중지는 판매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현지 '중국산 보이콧' 분위기는 장차 치열한 한·중 경쟁의 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 자동차 시장에도 파장을 일으킬 전망이다.

중국 자동차 업계의 경우 현지 시장 점유율은 아직 미미한 상태지만 최근 대규모 물량 공세를 준비하며 시장 진출 확대를 모색해왔기 때문이다.

상하이자동차(SAIC), 창청자동차(GWM) 등 최소 6개사 이상의 중국 완성차 업체가 향후 3∼5년간 인도 시장에 5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상태였다.

하지만 지금 같은 반중 정서가 계속되면 중국 차 업계의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에서 일본-인도 합작사 마루티-스즈키(50.3%)에 이어 17.3%의 점유율로 2위를 달렸다.

기아차는 지난해 현지 진출 후 셀토스, 카니발 등을 앞세워 시장 공략 중이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인도는 원자로, 보일러와 같은 기계류, API 설비마저도 수입 대체를 모색하고 있어 우리 기업의 관심이 요청된다"고 말했다.

특히 태양광 관련 시장도 우리 기업에 더 열릴 것으로 보인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확대에 공을 들이는 인도는 자국 기업 보호 등을 위해 지난해 말부터 정부 발주 태양광 프로젝트에 중국 기업의 참여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중국산 태양광 장비의 인도 시장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80%를 넘어선 상태였다.

김문영 코트라(KOTRA) 서남아본부장은 "인도에 확산 중인 반중정서는 탈중국 글로벌가치사슬 재편 움직임과 맞물려 현지 진출 및 수출 중인 우리 기업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태양광은 물론 다른 분야에서도 탈중국화에 따른 기회 요인이 있기에 우리 기업이 이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산 불매 나선 인도…"한국 기업에 반사이익 가능성"
다만 이런 분위기가 큰 폭의 중국 제품 수입 감소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제조업 기반이 약한 인도의 산업이 이미 대부분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데다 대다수 인도인은 제품의 원산지보다는 가격에 더 민감한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다.

한 경제 전문가는 인디아 TV와의 인터뷰에서 "완제품에 들어가 있는 온갖 중국산 부품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며 "인도의 현실을 고려할 때 단기간에 중국산을 퇴출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15일 밤 인도 북부 라다크 지역 분쟁지 갈완계곡에서는 인도군과 중국군 간 무력 충돌이 발생, 양측에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