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요동치던 일본 외환시장을 진정시킨 주역으로 '와타나베 부인(이자율이 거의 0인 일본에서 엔화를 빌려 이자율이 높은 해외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개인투자가)'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한탕전략으로 헤지펀드와도 '맞짱'

요미우리신문은 올 3월 한달 동안 도쿄외환시장에서 와타나베 부인(개인투자가)들의 외환거래규모가 1015조엔(약 1경1456조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5일 보도했다. 종전 최대규모였던 2015년 1월의 660조엔보다 두 배 가까이 많고, 지난해 도쿄환시 전체 거래규모(4000조엔)의 25%에 달한다.

막대한 거래규모와 함께 와타나베 부인들이 주목받는 이유는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엔화를 사고, 오르면 파는 역투자전략 때문이다. 크게 벌지만 크게 잃을 수도 있는 고위험 전략이다. 헤지펀드들이 주로 단기간 동안 환율을 한 방향으로 몰고가는 추세추종전략을 쓰는 것과 반대다.

3월 와타나베 부인들의 거래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도 투자전략이 정반대인 헤지펀드와 한판 붙었기 때문이다. 3월9일 달러당 엔화환율은 101엔대까지 떨어졌다.(엔화가치 상승) 투기세력인 헤지펀드가 엔화를 집중매수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추세추종전략을 쓰는 헤지펀드들이 몰려들면 환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이 컸다.
외환시장 큰손 와타나베부인, 남자였어?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헤지펀드들의 허리를 친 세력이 일제히 엔화를 팔고나선 와타나베 부인들이었다. 물길이 바뀌어 3월25일 달러 당 엔화 가치가 111엔대까지 오르자 이번에는 와타나베 부인들이 엔화를 집중 매수했다. 환율은 100엔 중반대로 안정화했다. 간다 다쿠야 외환닷컴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와타나베 부인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외환거래를 할 뿐이지만 결과적으로 외환시장의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의 외환거래 계좌수는 800만개. 개인투자자는 10%인 80만명 전후다. 이들에게 처음 '와타나베 부인'이라는 이름을 붙인 건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다. 1997년 일본의 전업주부가 고위험 해외 금융상품에 거액을 투자한다는 기사에 '와타나베 부인, 조심하세요' 라는 제목을 붙이면서 전세계적으로 알려졌다.

◆개정외환법 담당 공무원이 와타나베

당시 와타나베 부인들이 주로 손을 댄 건 해외채권이었다. 개인투자가들의 외환거래가 허용된 건 1998년부터여서다. '와타나베 부인=외환'의 이미지는 2007년 외환거래로 4억엔을 번 도쿄의 전업주부가 세금탈루로 유죄판결을 받으면서 굳어졌다. 일본의 전업주부들이 앞다퉈 와타나베 부인으로 변신한 계기가 된 사건이기도 했다.

와타나베 '부인'이라는 이름 때문에 대부분 아줌마 부대를 떠올리지만 개인투자가들의 80% 이상은 남성이다. 전업주부는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확산하면서 외환거래에 손을 대는 회사원이 크게 늘어나는게 최근 추세다.

일본에서 가장 많이 쓰는 성인 사토와 스즈키 대신 왜 6번째로 많은 와타나베라는 이름이 붙었는지는 일본인들도 궁금해 하는 부분이다. 다양한 설이 있지만 1998년 외환법 개정을 위해 전 세계 주요국을 찾아다니며 사전협의를 하던 재무성 담당자의 성이 와타나베였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일본 경제전문지 주간 다이아몬드는 당시 재무성 공무원의 명단을 검증해 "1990년대 재무성 외환법 개정 담당자 가운데 와타나베라는 성을 가진 관료가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금융시장에서 가장 예측이 어렵다는 외환시장에서 와타나베 부인들의 투자성적은 나쁘지 않다. 2018년 일본 금융선물거래업협회 조사에 따르면 남성 개인투자자의 60.9%, 여성의 58.2%가 연간 기준으로 수익을 냈다. 100만엔 이상 벌어들인 개인투자자도 5%에 달했다. 3.2%는 100만엔 이상 손실을 냈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