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과 유럽에서도 중국 ‘탈출’ 기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임금 상승,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기업 환경 악화로 다수 기업이 중국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에 따라 중국산 제품의 미국 수출 부담이 커지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공급망 다변화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각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탈중국을 유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긴급경제대책 예산 117조엔 가운데 ‘공급사슬 개혁’에 2435억엔(약 2조8000억원)을 배정했다. 일본 기업이 중국 생산공장을 이전할 때 비용의 3분의 2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일본뿐 아니라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제품을 동남아시아 등으로 이전할 때도 지원한다. 지난달 중순 가전 중견기업 아이리스오야마가 유턴을 결정하는 등 기업들도 빠르게 호응하고 있다.

필 호건 유럽연합(EU) 무역담당 집행위원은 지난달 “EU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특정국 무역 의존도를 낮출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생산기지를 유럽으로 되돌리는 것보다 공급망을 다변화해 위기에 대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주중국 EU상공회의소는 “코로나19로 중국 공장 생산에 차질을 빚은 유럽 기업들이 생산기지 다변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