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산 원유에 수입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러시아와 사우디가 감산에 나서도록 압박하기 위한 조치다. 트럼프 행정부는 원유 관세의 위력을 높이기 위해 캐나다까지 논의에 끌어들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미 에너지업계 경영진과 회동한 뒤 원유 관세와 관련해 “현재로선 부과할 생각이 없다”면서도 “우리가 공정하게 대접받지 못한다면 쓸 수 있는 수단”이라고 말했다. 이어 4일 백악관 정례 브리핑에서도 “수만 명의 에너지업계 근로자와 그 일자리를 만드는 위대한 기업들을 보호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뭐든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 셰일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감소와 러시아·사우디의 유가전쟁으로 인한 가격 하락으로 붕괴 위기에 몰렸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와 사우디에 하루 1000만 배럴 이상의 대규모 감산을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 전문 컨설팅업체인 클리어뷰에너지파트너스는 블룸버그통신에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비춰볼 때 미국은 감산에 동참하지 않으면서 수입관세 부과를 통해 러시아와 사우디 간 (감산) 대화를 압박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제이슨 케니 캐나다 앨버타주지사도 미국과 캐나다 당국자들이 러시아와 사우디가 감산에 조기 합의하지 않으면 이들 국가에서 북미지역으로 수입되는 원유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밝혔다. 앨버타주는 캐나다 내 최대 원유 생산지대다.

트럼프 행정부가 원유 관세를 부과할 경우 어떤 방법을 쓸지는 불확실하다. 반덤핑 관세를 매길 수 있지만, 여의치 않으면 중국과의 무역전쟁 때처럼 ‘슈퍼 301조’(불공정무역)를 쓰거나 수입차에 적용하려던 무역확장법(국가안보 위협)을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국 업계에선 찬반이 엇갈린다. 원유 관세 아이디어는 트럼프 대통령 친구인 해럴드 햄 콘티넨털리소시스 회장이 냈지만 정유사들은 비용 상승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미국의 감산 압박이 이어지고 있지만 러시아와 사우디 간 신경전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초 6일 열릴 예정이었던 양국의 감산 논의가 9일로 연기됐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