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시작돼 중국 전역 및 세계로 퍼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발병 사실을 최초로 경고했던 중국 의사 리원량이 우한 폐렴에 걸려 사망했다. 중국에선 그를 추모하는 물결과 함께 중국 정부를 향한 분노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오히려 SNS 검열을 강화하고 나서 비판을 받고 있다.

우한 폐렴을 세상에 가장 먼저 알린 중국 의사 리원량이 7일 사망했다. 사진은 그가 산소마스크를 쓰고 우한 폐렴과 싸우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우한 폐렴을 세상에 가장 먼저 알린 중국 의사 리원량이 7일 사망했다. 사진은 그가 산소마스크를 쓰고 우한 폐렴과 싸우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중국 우한중심병원은 7일 공식 웨이보(중국판 트위터)를 통해 이날 오전 2시58분께 리원량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향년 34세. 우한중심병원은 “리원량이 신종 코로나와 싸우다 불행하게도 감염됐다”며 “중환자실에서 긴급 소생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사망했다”고 밝혔다.

리원량은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초기 이 사실을 축소하려던 중국 당국에 맞서 새로운 질병을 알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우한중심병원의 안과 과장이었던 그는 지난해 12월 30일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 환자 7명이 발생했다는 병원의 문건을 얻게 됐다.

그는 그날 동창인 의사 7명이 함께하는 SNS 단체 대화방에 “화난수산물도매시장에서 사스 확진자들이 나왔다.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 중이니 절대 외부로 알리지 말라. 가족과 친지에게 몸조심하라고 해라”란 글을 올렸다. 이 글은 인터넷에 급속히 전파됐고, 우한 폐렴은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우한시 보건당국이 ‘원인 불명의 집단 폐렴 발생’ 소식을 알리기 하루 전이었다.

이틀 후인 1월 1일 우한 경찰은 통지를 통해 “일부 네티즌이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헛소문을 퍼뜨려 사회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위법 행위를 저지른 8명을 소환해 법에 따라 처리했다고 밝혔다. 리원량은 경찰에 반성문 성격의 ‘훈계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이후 중국 정부가 우한 폐렴을 공식 인정하면서 그는 유언비어 유포자에서 ‘영웅’으로 칭송받게 됐다.

리원량은 환자를 돌보다가 지난달 10일께부터 기침과 발열 등 증세가 나타나 입원했고 2월 1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우한 폐렴 확산 초기 마스크 등 보호장비 없이 환자를 돌보다 감염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상태가 악화돼 중환자실에서 치료받던 중이었다.

리원량은 지난달 30일 중국 매체 차이신과의 원격인터뷰에서 “건강한 사회에선 한목소리만 존재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중국 당국에 일침을 가했다. 또 “억울한 누명을 벗는 것은 나에게 그리 중요하지 않다. 정의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있다”고 했다.

리원량의 사망 소식에 중국인들은 SNS를 통해 “우리는 영웅을 잃었다”며 깊은 애도를 표했다. 그의 가족에 대한 정보도 전해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그는 한 아이의 아버지이며 아내는 둘째를 임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보건기구(WHO)도 트위터를 통해 “리원량의 사망은 매우 슬픈 일”이라며 “그가 바이러스 퇴치를 위해 한 일을 기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리원량의 경고를 불법이라며 사태를 감추는 데 급급했던 중국 정부에 비난도 쏟아졌다. 누리꾼들은 “리원량의 죽음은 인재(人災)다. 중국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그의 말을 듣고 빠르게 조치했더라면 지금 같은 불행은 없었을 것이다” “진실을 말하는 건 용기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의 문제다” 등 정부를 성토하는 글이 이어졌다.

우한 폐렴으로 인한 여론이 나빠지자 중국 국가사이버정보실(CAC)은 성명을 통해 시나웨이보,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모기업 바이트댄스, 위챗(중국판 카카오톡)의 모기업 텐센트 등에 감독기관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CAC는 “신종 코로나와의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선 인터넷 플랫폼 기업과 지방정부가 좋은 사이버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이유를 들었다.

CAC는 사용자들이 게시한 불법 정보를 관리하는 데 소홀했다며 중국 최대 포털업체 바이두 관계자를 소환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피피 가오샤오’는 유해한 동영상을 올려 공포심을 유발했다며 앱스토어에서 삭제당했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