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중국 연구팀이 작년 3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또다시 박쥐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며 대책 마련을 경고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논문에는 중국이 새 감염병의 유력 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함께 실렸다.

30일 국제학술지 '바이러스'(Viruses) 2019년 3월호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 바이러스연구소 연구팀은 '중국 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경고했다. 초기 경고 신호를 탐지하기 위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논문이 학술지 출판사에 처음 제출된 건 약 1년 전인 2019년 1월 29일이다. 연구팀은 당시 박쥐를 숙주로 한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재출현해 새 감염병을 일으킬 것으로 진단했다. 이 경우 중국이 새로운 감염병의 유력한 핫스폿(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연구팀은 박쥐를 코로나바이러스의 중요한 숙주로 지목했다. 지난 20년 동안 박쥐에서 비롯된 주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으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SARS),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돼지 급성설사증후군(SADS)이 생겼고, 이중 2개(SARS, SADS)가 중국에서 처음 발생했다고 진단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박쥐는 유일하게 비행이 가능한 포유류로 이동범위가 넓은 데다, 사람에게 유출돼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알파 코로나바이러스 17개 중 10개, 베타(β) 코로나바이러스 12개 중 7개를 각각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중국의 광대한 국토, 다양한 기후가 박쥐와 박쥐 매개 바이러스의 생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을 피할 수 있는 연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중국의 식습관 문화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살아있는 상태에서 도축된 동물이 더 영양가가 높다는 중국인의 음식문화가 바이러스 전파를 강화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다만 박쥐는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물질인 인터페론알파(α)가 질병 발현을 억제해 코로나바이러스를 장기적으로 체내에 유지한다고 연구팀은 추정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