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소비 증가 덕분…4분기 연 5.01% 성장하며 둔화"글로벌 수요 부진·고물가·금리 상승으로 성장세 둔화 전망" 인도네시아가 지난해 5.31% 성장하며 9년 만에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은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국내총생산(GDP)이 1경9천588조4천억 루피아(약 1천627조8천억 원)를 기록, 전년보다 5.31% 늘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GDP 증가율은 2013년(5.56%) 이후 가장 높은 실적이다. 인도네시아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경제성장률이 -2.07%에 그쳐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첫 역성장을 기록했다. 이후 2021년 3.69%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고, 지난해는 5%대 성장률로 복귀하는 데 성공했다. 9년 만에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었던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출액이 많이 늘어난 덕분이다. 인도네시아는 팜유와 석탄 수출 1위 국가며 천연가스와 금, 보크사이트 등도 대거 수출한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수출액은 2천919억8천만 달러(약 361조 원)로 1년 전보다 26.1% 증가했고, 무역수지 흑자는 544억6천만 달러(약 67조3천억 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완화로 각종 이동 제한 조치가 해제되면서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가계 소비가 살아난 것도 성장률 회복에 도움이 됐다. 마고 유원노 통계청장은 높은 수출 가격과 경제 활동 회복이 높은 성장률을 이끌었다며 "인도네시아 경제가 견고하게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올해는 지난해와 같은 성장률을 기대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세계 경제가 크게 둔화하며 원자재 가격도 내려가고 수출 물량도 줄어들 것으로 보여서다. 이런 상황
러시아 본토에 이란제 드론(무인기) 공장을 세우는 방안을 양국이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5일 이란혁명수비대(IRGC) 산하 우주·항공 관련 기관 'ASF SSJO'를 이끄는 압돌라 메흐라비 장군과 이란 핵심 방산기업인 쿠드스항공산업(QAI) 대표 가셈 다마반디안 등 고위급 대표단이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 위치한 옐라부가를 방문했다. 옐라부가는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동쪽으로 약 965㎞ 떨어진 도시다. 이란 대표단과 러시아 당국자는 당시 옐라부가에 마련된 부지를 둘러보면서 이곳에 향후 몇 년 동안 이란제 드론 최소 6천 대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구체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국은 해당 공장에서 기존의 이란제 자폭 드론 '샤헤드-136' 엔진을 교체해 더 빠른 속도로 멀리까지 비행하는 신형 샤헤드-136을 생산한다는 구상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10월부터 우크라이나 내 전력 기반 시설을 파괴하기 위해 미사일보다 저렴한 드론 샤헤드-136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샤헤드-136이 특유의 커다란 엔진 소리를 내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다는 점을 이용해 최근 이 드론을 쉽게 막아내고 있다. 앞서 우크라이나 공군은 지난해 러시아의 드론 공격이 본격화된 가을 이후 드론 총 540대 이상을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러시아와 이란 양국은 이번 계획으로 샤헤드-136의 이 같은 약점을 개선, 우크라이나 방공 체계에 더 큰 타격을 주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다만 아직 공장 건설이 시작된 것은 아니어서 러시아와 이란의
나이지리아에서 선적…1992년에 법으로 거래 금지 베트남 북부 항구에서 밀반입된 코끼리 상아가 대량으로 발견됐다. 6일 현지매체인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베트남 해안경비대와 세관은 지난 3일 북부 하이퐁의 항구에서 코끼리 상아 500㎏을 압수했다. 코끼리 상아는 나이지리아에서 실어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세관은 특수 장비를 동원해 소뿔이 포장된 짐 더미에서 상아를 발견했다. 베트남 해안경비대의 부사령관인 부 쭝 끼엔 소장은 "작년 10월 중순부터 나이지리아에서 코끼리 상아를 밀수입하는 조직의 활동이 두드러져 점검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베트남은 지난 1992년에 코끼리 상아 거래를 법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장식 및 질병 치료를 위한 현지 수요가 많아 밀반입이 성행하고 있다. 또 천산갑, 호랑이, 코뿔소 뿔 등 야생동물의 사체나 특정 부위가 거래되는 주요 시장 중 하나다. 야생동물거래 모니터링 단체인 트래픽(TRAFFIC)과 호주 애들레이드대가 지난 2017년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 말레이시아, 태국, 라오스, 인도네시아와 함께 야생동물 밀수입이 가장 성행하는 10개국에 포함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