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도쿄, 오사카, 나고야 등 일본 주요 도시에서 사무실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직원 수 증가와 인재 확보를 위해 쾌적한 업무 공간을 요구하는 움직임이 늘면서 사무실을 늘리는 기업은 증가한 반면 오피스 공급은 이를 따라가지 못해서입니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삿포로 등 일본 주요 대도시의 공실률이 지난 1년여 새 급격히 낮아졌습니다. 사무실 중개업체 미키상사에 따르면 나고야의 공실률은 지난해 1월 4.18%에서 올 5월 2.11%로 낮아졌습니다. 같은 기간 오사카 공실률도 3.59%에서 2.45%로 뚝 떨어졌습니다. 올 5월 현재 삿포로(2.23%), 후쿠오카(1.81%) 등의 공실률도 매우 낮은 상태입니다.

도쿄의 사무실 부족은 더욱 심각한 모습입니다. 시부야, 신주쿠 등 도쿄 도심의 올 5월 오피스 공실률은 1.64%로 거품경제 시기인 1990년 12월의 0.39%이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도쿄의 공실률은 지난해 11월 이후 1%대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도심 사무실 공실률이 수급 균형선이라는 5% 아래로 떨어진 것은 물론 극단적인 사무실 부족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도쿄 도심지역 사무실 공실률은 1990년대 초까지 0~1%대를 오가다 1992년 거품경제가 꺼지면서 5%대로 높아졌습니다. 이후 일본 경제가 침체된 이른바 ‘잃어버린 20년’ 동안 공실률은 9% 수준까지 상승하기도 했습니다. 도쿄 도심 사무실 공실률이 수급 균형선이라는 5% 아래로 떨어진 것은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의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난 2015년 7월부터입니다.
 최근 1년간 급격히 낮아진 일본 주요도시 사무실 공실률 /마이니치신문 캡쳐
최근 1년간 급격히 낮아진 일본 주요도시 사무실 공실률 /마이니치신문 캡쳐
이처럼 일본 주요 도시에서 사무실이 모자란 것은 기업들이 인력 채용을 늘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사무환경 개선에 눈을 돌리는 기업이 늘어난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일손 부족 현상이 심해지면서 교통이 편리한 도심지역에 쾌적한 환경의 사무공간을 마련해 인재를 확보하려는 수요가 늘어난 것입니다. 또 과거와 달리 도심지 오피스 수요처가 금융사와 대기업뿐만 아니라 정보기술(IT) 기업과 게임업체 등으로 다변화한 점도 사무실 부족현상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도쿄 이외 지역에선 신규 오피스 빌딩의 건설이 부족하고, 일본을 방문하는 여행객이 증가하면서 낡은 건물들이 호텔 위주로 바뀌면서 사무공간 부족이 심화됐습니다.

일본의 노동환경 변화도 사무실 부족에 한몫하고 있습니다. 중개업체인 산코이스테이트 관계자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정년연장의 영향으로 사무실 부족현상이 심화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공유사무실 업체 위워크는 지난해 2월 일본에 진출한 이후 도쿄 뿐 아니라 오사카, 나고야 등으로도 거점을 확대했습니다.

이처럼 사무실 부족현상이 전국화·만성화하면서 사무실 임대료 상승 추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도쿄 도심지역의 사무실 평균 임대료는 3.3㎡당 평균 임대료는 2만1396엔(약 23만원)으로 전월 대비 0.55% 상승했습니다. 65개월 연속 임대료 상승 기록도 세웠습니다. 이는 2009년 2월(2만1620엔) 이후 최고치입니다. 다만 도심지 월평균 임대료가 3.3㎡당 2만3000엔 근처까지 갔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비하면 여전히 임대료는 낮은 수준입니다.

빈사무실을 구하기 힘든 도쿄와 대조적으로 한국감정원의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상업용부동산 공실률은 올 1분기에 11%에 달했다고 합니다. 시청, 을지로, 충무로 지역은 공실률이 20%를 넘기도 했다고 합니다. 경제상황을 바라보는 척도 중 하나라는 사무실 공실률만 놓고 보면 한국과 일본 경제 현황의 격차가 적지 않은 모습입니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