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은 ‘중국이지만 중국이 아닌 지역’, ‘중국과 서방세계의 가교’ 등 여러 가지 별칭으로 불린다. 중국 정부로부터 ‘일국양제(一國兩制: 한 국가 두 체제)’와 ‘항인치항(港人治港: 홍콩인에 의한 홍콩 통치)’ 원칙을 보장받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역내에서 자치권을 보장하고 있는 특별행정구는 현재 홍콩과 마카오뿐이다.

홍콩은 1839년 발발한 1차 아편전쟁으로 1842년 체결된 난징조약에 따라 영국에 할양됐다. 1941년 2차 세계대전 당시 잠시 동안 일본에 강점됐다가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영국이 수복했다. 이후 중국의 정치·경제적 위상이 높아진 1970년대 들어 홍콩의 중국 반환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1980년대 들어서는 1997년으로 예정돼 있던 영국의 홍콩 조차(租借) 만기를 앞두고 조기 반환을 요구하는 중국과 반환 연기 의사를 밝힌 영국 간 힘겨루기가 벌어지기도 했다. 1982년 9월 마거릿 대처 당시 영국 총리가 중국 베이징을 찾아 중국의 실권자이던 덩샤오핑과 회담한 것이 관련 논의에 불을 댕겼다. 대처 총리는 중국의 홍콩 주권을 인정하되 행정권은 영국이 가져가겠다고 제안했다. 덩샤오핑은 주권 회복 문제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강경하게 맞섰다.

먼저 절충안을 내민 것은 중국이었다. 홍콩에 50년간 자치를 허용하고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유지토록 하는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했다. 1985년에는 영국이 홍콩 주권을 중국에 완전히 반환하는 ‘영국·중국 공동선언’ 비준서가 교환됐다. 1990년 중국은 일국양제와 항인치항을 뼈대로 한 ‘홍콩특별행정구기본법’을 채택했다. 홍콩 주권은 예정대로 1997년 7월 1일 중국에 넘겨졌다. 이로써 155년간 이어지던 영국의 홍콩 통치 시대가 막을 내렸다.

중국 반환 뒤에도 홍콩은 동·서양 문화가 결합된 ‘동양의 진주’로 발전해 나갔다. 중국 시장과 연결돼 있으면서도 자본주의 체제를 누리고 있다는 점이 전 세계 자본을 홍콩으로 이끌었다. 그 결과 홍콩은 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 이은 세계 3위 금융허브 도시로 자리잡았다.

정연일 기자 ne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