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올해 안에 서울 땅을 밟을 수 있을까.

청와대는 여전히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 정상은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약조했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조기 답방은 틀림없다고 본다. 연내에 조기 답방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김 위원장의 답방을)꼭 북미정상회담과 연결해 생각할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이전이라도 답방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북미 간 비핵화 협상 때문이다. 6월 1차 정상회담 이후 4개월 넘게 답보를 거듭해온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둬야만 그의 답방이 성과를 낼 수 있어서다.

다음주에 재개될 북미 고위급회담의 결과에 따라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도 결정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번 고위급회담에서 북미는 비핵화 타임테이블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각자 계산기를 두들길 것으로 보인다. 큰 틀에서 합의가 이뤄지면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이라도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예정대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북미회담이 순조로울 것이라는 징후도 있다. 김 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최근 방북 당시 미국 사찰단이 북한의 '중요한 시설' 두 곳을 볼 수 있도록 허용했다. 여기서 두 곳은 풍계리 핵 실험장과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으로 알려졌다.

북핵 시설에 대한 국제사회의 검증이 비핵화 프로세스의 핵심요소 중 하나인 만큼 이는 북미회담에서 비핵화 로드맵을 타결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반면 북미 고위급회담이 순탄치 않을 우려도 나온다. 북미 대좌를 앞둔 시점에 김 위원장은 "적대세력들이 우리 인민의 복리 증진과 발전을 가로막고 우리를 변화시키고 굴복시켜 보려고 악랄한 제재 책동에만 어리석게 광분하고 있다"며 미국을 원색적으로 비난하고 나섰다는 점에서다.

폼페이오 장관도 1일(현지시간) 라디오 방송에서 "대북 경제제재는 그들(북한)이 핵 프로그램을 제거했다는 점을 우리가 검증을 통해 확인할 능력을 얻을 때까지는 해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