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에 시달리는 파키스탄이 결국 국제통화기금(IMF)에 손을 벌리기로 했다.

9일(현지시간)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아사드 우마르 파키스탄 재무장관은 전날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통해 "임란 칸 총리가 주요 경제전문가들과 상의한 끝에 IMF와 (구제금융 관련) 협상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우마르 장관은 이번 협상의 주 목적은 경제위기를 관리하기 위한 회복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IMF에 요청할 구제금융 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IMF 측도 파키스탄의 공식협상 제안을 아직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지난 8월 출범한 칸 정부는 그간 자금 활용에 제약이 많은 IMF 구제금융 대신 다른 나라에서 차관을 들여와 경제위기를 넘기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하지만 파키스탄으로서는 미국 등 서방과 관계가 경색돼 돈을 빌릴만한 곳이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정도밖에 없는데다 필요한 돈의 규모도 매우 커 결국 IMF 구제금융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관련해 칸 총리는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증가하는 채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MF 체제로 돌아갈 수 있다"고 취임 후 처음으로 IMF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파키스탄의 지난 9월 외환보유액은 84억달러(약 9조5천억원) 수준으로 올해 말이면 잔액이 바닥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파키스탄이 당장 눈앞의 경제위기에서 벗어나려면 120억달러가량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앞서 파키스탄은 2013년 등 1980년대 말 이후 12차례 IMF의 지원을 받았다.

그러다가 최근에는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사업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다가 부채 급증과 외화 부족 등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고 있다.

파키스탄은 현재 중국과 460억달러 규모의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CPEC) 사업을 비롯해 620억달러에 달하는 인프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파키스탄은 재정·경상수지 적자 등 국내 경제불안 우려를 잠재우고자 최근 추가로 금리를 인상했으며 일대일로 사업도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한편, 파키스탄이 IMF에서 구제금융을 받는데는 미국의 태도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은 "파키스탄에 대한 IMF의 구제금융 제공은 그 자금이 결국 중국이나 중국 채권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