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중시 유대 문화·종교…생식보조의료비 전액 지원, 대리출산 허용도 한몫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스라엘 여성은 평균 3명의 자녀를 낳는다.

선진국중에서는 눈에 띄게 높은 출산률이다.

가족을 중시하는 유태인의 문화와 종교가 주요 요인이지만 비극적 역사에서 비롯된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출산장려책도 한몫을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바로 체외수정과 수정란 동결보존 등의 생식보조의료를 의료보험으로 커버해 주는 출산장려 제도다.

이스라엘은 1995년 국민의료보험법 제정 때 부터 ▲ 여성이 45세 때 까지 ▲ 현재의 배우자와의 사이에 자녀 2명을 낳을 때 까지 체외수정비용을 국가가 보험으로 전액 지원해 준다.

이 때문에 인구 880만 중 체외수정이 연간 4만건이 넘는다.

인구 100만명 당 체외수정건수는 단연 세계 1위다.

체외수정을 통한 출생이 연간 신생아의 5% 가까이를 차지한다.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생식보조의료 절반은 국가정책이다.

밀러 세브나할렐 전 이스라엘 보건부 법률고문은 "2차 대전중 홀로코스트로 600만명이 희생당했고 그후의 전쟁에서도 다수가 목숨을 잃었다"면서 "유태인 국가에서 가족을 갖는 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되는 바람에 생식보조의료 대국이 됐다"고 설명했다.

"유태인의 나라"를 표방하는 이스라엘은 인구의 약 75%인 유태인 비중을 유지하고 나아가 유태인의 비중을 더 높이려 하고 있다.

유태교 종교 지도자들도 생식보조의료를 지지하고 있다.

출산에 대한 사회적 지원도 매우 후하다.

15주간의 유급 출산 및 육아휴가가 인정되고 불임치료중인 여성에게도 연간 최대 80일의 유급휴가가 주어진다.

이스라엘의 합계출산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수위다.

이스라엘은 상당 수 국가가 아직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대리출산도 인정하고 있다.

1996년 혼인관계 유무에 관계없이 이스라엘 국적의 남녀 커플에 대해 국내에서의 대리출산이 합법화됐다.

보건부에 따르면 작년까지의 20년간 824명이 대리출산으로 태어났다.

보건부 전문위원회가 대리모와의 계약서를 심사해 승인하며 대리모가 출산한 후 양친이 재판절차를 거치면 실제 자녀로 인정받는다.

체외수정으로 장녀(22)를 출산한 멜라브 레비(52)는 2번째 자녀를 갖기 위해 10번 이상 체외수정을 시도했지만 임신에 성공하지 못했다.

의사로부터 "더 이상은 위험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둘째 딸(15)을 대리출산을 통해 얻었다.

레비씨는 대리모를 구하느라 고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2002년 대리출산 중개회사를 설립했다.

이용자가 늘어 지금까지 400명 이상의 어린이가 태어났다.

오릿트 힐러리(38)는 12년 전 레비씨가 소개한 부부를 위해 대리모가 됐다.

"처음에는 경제적 동기에서 했지만 장기간의 불임치료에도 불구, 자녀를 얻지 못한 부부의 부탁을 받고 힘이 돼 주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국외에서 대리출산으로 태어난 어린이도 있다.

주로 동유럽 조지아의 대리모를 소개하는 업자는 작년에 200건의 의뢰를 받았다.

게이 커플인 가이 탓자(49)와 루시 라올(43)은 대리출산으로 태어난 10살난 딸과 5살 쌍둥이 아들을 자녀로 두고 있다.

탓자씨는 게이들을 위한 대리출산 회사를 설립했다.

그는 "자녀를 두도록 장려하는 사회에서 우리 같은 게이들도 자연스럽게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체외수정보다 훨씬 돈이 많이 드는 대리출산은 공적지원이 없다.

그런데도 부유층 뿐만 아니라 "집과 자동차를 팔거나 부모에게 돈을 빌려서라도 의뢰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레비씨)고 한다.

생식보조의료를 국민 대다수가 지지하지만 그런 사회에서 살기가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다.

50대의 한 독신여성은 39살 때 정자뱅크에서 정자를 제공받아 임신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

"가족과 자녀가 없는 여성을 이상한 눈으로 보는게 큰 스트레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버지가 누군지도 모르는 아이가 태어나는게 불쌍하게 여겨져" 생각을 바꿔 출산을 포기했다.

지금은 "내 배는 내것이지 국가의 것이 아니다"라고 생각하지만 감정의 응어리는 사라지지 않았다.

생식보조의료를 연구하는 다프나 칼메리 하이파대학 교수는 "체외수정은 국가가 전액 지원하지만 양자입양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고 지적, "유전적 연결을 중시하는 전통적 가족관이 여전히 강하다"고 말했다.

공적지원을 받을 수 있는 연령 상한이 45세로 높아 40세 이상의 여성이 실패를 거듭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체외수정으로 아이가 태어날 확률도 20% 정도에 그치고 있다.

칼메리 교수는 "기술이 앞서가는 바람에 위험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며 건강에 미칠 악영향이 진지하게 연구되고 있다고 할 수 없다"면서 여성이 생식보조의료 이용여부를 주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