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지난 19일부터 전국 전력회사를 대상으로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작했다.

20일 관영 차이나데일리에 따르면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전날 ‘전국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건설 방안’을 공개하고 이날부터 전력회사를 대상으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1700여 개 전력회사가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기업이 연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33억t에 달한다. 중국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분의 1에 이르는 규모다. 2015년 기준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90억8400만t을 기록했다.

중국 정부는 우선 전력회사를 대상으로 시작한 뒤 전체 제조업으로 적용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7000~8000개 기업이 탄소배출권 거래제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투기를 우려해 다른 국가처럼 탄소선물과 같은 금융상품은 도입하지 않을 방침이다.

세계 최대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중국은 2030년을 정점으로 배출량을 줄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2013년 6월 선전시에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범 도입했다. 이후 베이징, 톈진, 상하이, 충칭, 광둥성, 후베이성 등 7개 지역으로 확대했다. 2013년부터 지난달까지 이들 7개 지역에서 총 2억t의 탄소배출권이 거래됐다. 거래액은 46억위안(약 7545억원)에 달한다. 거래가 가장 활성화된 상하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1.7%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전국 단위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준비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행 시기를 올해로 미뤘다. 당초 전력, 석유화학, 화학, 건자재, 철강, 비철금속, 제지, 항공 등 8개 업종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연간 26만t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할 계획이었지만 7개 업종은 정확한 배출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어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장자오리 발전개혁위원회 기후국 부국장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되더라도 전력산업의 전체 비용이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영 효율이 높고 탄소배출량이 적은 기업은 전력 생산을 늘리고, 그 반대인 기업은 경쟁에서 밀려 수급 균형이 유지될 것이란 설명이다.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