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전기자동차 회사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사진)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지난 3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에서 한 번 사용한 드래건 우주선을 팰컨9 로켓에 실어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 스페이스닷컴 등 외신들은 “스페이스X가 재활용 로켓에 이어 재활용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면서 저가 우주개발 시대의 서막이 올랐다”고 전했다. 외신들은 이번 발사가 1969년 달에 인류의 첫발을 내디딘 아폴로 11호를 쏘아 올린 39A 발사대에서 100번째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다고 보도했다.
이날 발사된 드래건 우주선은 스페이스X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을 보급하기 위해 개발한 무인 우주화물선이다. 스페이스X가 무인 우주선을 활용해 ISS에 화물을 전달하는 건 이번이 일곱 번째다. 특히 이번 우주선은 2014년 9월 ISS에 화물을 전달하고 지구로 귀환한 우주선을 재활용한 것이다. 이 우주선은 5일쯤 400㎞ 상공에 떠 있는 ISS에 도착해 화물을 전달할 예정이다. 우주선에는 우주실험에 사용할 생쥐 40마리와 중성자별 관측 장비(NICER)를 비롯해 모두 2.7t에 이르는 화물이 실려 있다.
이날 드래건 우주선을 싣고 우주로 향한 팰컨9의 1단 로켓도 발사 7분50초 뒤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의 1번 착륙장에 성공적으로 내려앉았다. 스페이스X는 지금까지 모두 16차례 위성과 우주화물선을 쏘아 이 중 11차례 로켓 회수에 성공했다. 지난 3월에는 최초로 팰컨9 1단 로켓을 재활용해 다시 쏘아 올리는 데 성공했다.
전문가들은 스페이스X가 로켓에 이어 우주선을 다시 사용하면서 재활용 시대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로켓 발사와 우주선 개발의 패러다임도 바뀔 전망이다. 스페이스X 측은 3월 재활용 로켓 발사에 성공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1단 로켓을 회수해 다시 사용하면 발사비용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며 “현재 6100만달러 수준인 발사비를 4280만달러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우주선까지 다시 사용할 경우 전체 발사비는 크게 줄어든다.
스페이스X는 완벽한 재활용 시대를 열기 위해 마지막 몇 단계만 남기고 있다. 우주선을 우주궤도까지 올리는 팰컨9의 2단 로켓과 페어링(우주선 덮개)까지 모두 회수해 재활용하겠다는 것이 그중 하나다. 지금까지는 전체 팰컨9 로켓 가격의 75%를 차지하는 1단 로켓 회수에 집중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나머지 25%도 철저히 회수해 재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사용한 로켓에 재활용 우주선을 실어 우주로 쏘아 올려 신뢰성도 검증받아야 한다. 스페이스X는 이번 발사에는 회수한 로켓을 사용하지 않았다.
스페이스X가 로켓과 우주선 재활용에 잇따라 성공하면서 고객들의 ‘러브콜’도 늘고 있다. 스페이스X는 올해 총 여섯 차례 재활용 로켓 발사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미 세계 1위 인공위성 운영 회사인 룩셈부르크 SES는 스페이스X 최대 고객으로 이름을 올렸다. SES는 스페이스X의 재활용 로켓으로 위성을 쏴서 발사비를 3000만달러까지 낮추겠다는 뜻을 밝혔다.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즈는 지금 상태에서도 팰컨9 발사비를 4800만달러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항공우주국(NASA)도 주요 고객이다. NASA는 스페이스X와 ISS에 20차례 화물을 실어나르는 운송 계약을 맺었다. 올해도 두 번 더 화물을 실은 드래건 우주선을 발사할 예정이다. NASA는 스페이스X의 재활용 로켓 발사 프로젝트가 안정 단계에 들어가면 화물용 우주선으로 사용하는 계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제 커피 원두 가격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다. 원두 수출국인 코트디부아르에서 최근 원두 수출량이 늘어나면서다. 그러나 공급 불안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8일(현지시간) 미국 국제선물거래소(ICE)에서 아라비카 커피 원두 선물 5월물 가격은 전일보다 1.78% 하락해 파운드당 1.738달러에 거래됐다.국제 커피 원두 가격은 최근 한 달간 6.23% 떨어졌다. 올 초 파운드당 1.4달러선에 거래됐던 커피 원두 가격은 지난달 22일 1.995달러까지 뛰었다. 올해 원두 공급이 당초 시장 예상치보다 적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다. 특히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인 브라질의 기후 조건이 예상보다는 나쁘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가격을 끌어올렸다.그러나 이후 원두 가격은 소폭 진정되는 분위기다. 원두 공급량이 일부 풀린 영향이 컸다. ‘아이보리 코스트’로도 불리는 코트디부아르가 올 1~2월 수출한 커피 원두는 2786t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9% 가량 증가했다. 미국과 유럽발 은행 위기가 커피 원두 가격에 제동을 걸었다는 분석도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와 크레디트스위스 등 미국과 유럽 은행의 잇단 파산으로 은행 시스템으로 위기가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은행 위기의 여파가 세계 경제에까지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경기 침체가 예고되는 상황에서 원자재에 대한 투자 심리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다만 여전히 가격이 상승할 여력은 있다는 분석이다. 장기적인 원두 공급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지 않아서다. 트레이딩이코노믹스에 따르면 ICE가 모니터링하는 아라비카 커피 원두 재고는 74만933포대로 최근 3~4개월 간 최저 수준
브라질의 한 학교 교실에서 10대 학생이 흉기를 휘둘러 교사 1명이 사망하고 학생 등 4명이 다쳤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 매체 G1과 CNN 브라질, TV 글로부 등은 사건이 이날 오전 7시20분께 상파울루 공립(주립)인 토마지아 몬토루 학교의 교실에서 발생했다고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검은색 모자를 눌러쓰고 해골 모양 마스크를 착용한 10대 학생이 교실에 들어가 수업 준비를 하는 교사 A씨(71)를 뒤에서 흉기로 찔렀다.학생은 비명을 지르며 놀라 달아나는 학생들을 향해 몇 차례 흉기를 더 휘둘렀고, 목과 머리 부분에 큰 상처를 입은 교사는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다.당국은 피의자가 이 학교 8학년(한국 기준 중학교 2∼3학년)에 재학 중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온라인에 공개된 교실 내 보안 카메라 녹화 영상에는 숨진 교사가 피습 전 아무런 방어도 하지 못하는 모습이 고스란히 담겼다.한편, 교육 당국은 이날 안전을 위해 학생들을 귀가 조처했다.현장에서 범인을 체포한 경찰은 '다른 학생과의 다툼을 해결하는 선생님의 방식에 대해 (피의자가) 불만을 토로한 적이 있다'는 진술 등을 토대로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멕시코의 한 남자 배우가 사망한 동료 여배우를 추모하며 과거 작품 속 스킨십하는 사진을 게시해 뭇매를 맞고 있다.23일(현지시간) 엘우니베르살과 레포르마 등 멕시코 일간지에 따르면 텔레노벨라(스페인과 중남미 등지에서 제작되는 연속극) 배우인 아리 텔츠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날 별세한 레베카 존스를 추모하는 게시물을 올렸다.그는 "당신을 떠나보내기 어렵다. 친구이자, 배우이자, 동료였던 당신을 항상 그리워할 것"이라며 고인을 향한 애틋한 마음을 드러냈다.문제가 된 건 사진이었다. 사진 속 텔츠는 옷을 풀어 헤치고 상체를 거의 드러낸 채로 존스의 턱에 입을 맞추고 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추모 상황에서 부적절한 사진이라고 지적했다.논란이 거세지자 텔츠는 1분 36초 분량의 해명 영상을 올렸다. 해당 사진은 함께 호흡을 맞췄던 '크리스털 제국'의 한 장면이라고 강조하며 "이게 내가 그를 기억하고 싶은 방식이다. 행복하고, 젊었던 당시에 그가 그토록 뛰어난 방식으로 임했던 작업을 보여준 것뿐"이라고 말했다.그러면서 "레베카, 부디 편히 쉬길. 당신(네티즌)들의 비난도 감사하다"고 덧붙였다.영화·방송계에서 큰 사랑 받았던 레베카 존스는 난소암 투병 끝에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