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 저출산 국가인 독일의 작년 출산율이 난민을 비롯한 이민자 덕분에 3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독일 연방통계청은 지난해 가임 여성 1인당 출산율이 1.50명으로 전년(1.47명)보다 소폭 증가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1982년 1.51명을 기록한 뒤 최고 출산율이다.

독일은 저출산 기조가 이어지면서 ‘아이 없는 국가’란 이름까지 얻었다. 1975년부터 통일 전 서독에서는 출산율이 1.50명을 밑돌았고, 동독도 통일 이후 출산율이 급격히 떨어졌다.

출산율 상승에는 이민자 증가가 기여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독일 국적 여성의 출산율은 1.43명으로 전년(1.42명)보다 0.01명 올랐다. 이에 비해 독일에 체류하는 외국 국적 여성의 출산율은 2014년(1.86명)에 비해 0.10명 늘어난 1.96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동안 독일로 들어온 망명 신청자는 90만명에 달했다.

육아정책 개혁도 출산율을 끌어올렸다. 동부의 작센주는 전체 13개 주 가운데 외국인 거주 비율이 낮은 축에 들지만 2007년 이후 출산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출산율 상승을 이민자 증가만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마틴 부야르트 연방인구연구원장은 “동부를 중심으로 3세 이하 유아에게 양육수당을 줬고, 지난 15년 동안 아동보호시설을 세 배 늘렸다”며 출산율 상승을 뒷받침한 중요한 요인으로 육아정책 개혁을 꼽았다.

통계청은 다만 인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출산율(대체 출산율)인 2.10명에는 아직 못 미친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8100만명인 독일 인구는 2060년까지 6800만~7300만명으로 줄어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