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의 ‘미니 슈퍼 화요일’ 경선에선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압승해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사실상 확정됐다. 그간 미국에서 군소정당 여성 대통령 후보는 종종 있었지만, 주요 정당인 민주당이나 공화당에서 여성 대통령 후보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클린턴 전 장관은 15일(현지시간) 플로리다와 오하이오 노스캐롤라이나 일리노이 미주리 등 5개 주에서 치러진 경선에서 모두 승리해 경선 승리를 사실상 확정지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현재 1561명의 대의원을 확보해 822명만 더 추가하면 경선 승리에 필요한 과반 대의원(2383명)을 채운다.
앞으로 남은 경선지에서 뽑을 대의원이 2367명이기 때문에 그중 35%만 득표하면 된다.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율과 그동안의 승률을 감안했을 때 이변이 없는 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대의원 숫자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뉴욕타임스와 CNN 등 미국 주요 언론들은 “미국 첫 여성 대통령 후보가 사실상 확정됐다”고 보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고전이 예상됐던 오하이오와 일리노이 등 ‘러스트 벨트(rust belt, 쇠락한 중북부 공업지대)에서도 승리를 거뒀다. 중부 미주리주에서는 초접전 끝에 승리했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버몬트)은 이날 경선이 끝난 뒤 지지자들을 향한 연설에서 “정치혁명을 위한 발걸음은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계속될 것”이라며 경선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승리가 확정된 뒤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한 연설에서 본선을 겨냥했다. 그는 “국민의 일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국민을 더 안전하게 지켜주고, 나라를 하나로 융화시키는 게 다음 대통령의 임무”라며 자신이 적임자라고 말했다. 그는 “다른 대선 주자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공약을 내놓고 있지만 그게 얼마나 비용이 드는지,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게 대통령이 되는 것과 단지 대통령선거에 출마하는 것과의 차이”라며 차별성을 강조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최근 CNN 여론조사 결과, 공화당 경선 선두주자인 도널드 트럼프와의 본선 양자대결 시 52% 대 44%로 승리하는 것으로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 계열 투자전문 주간지 배런스는 이날 월가 관계자들이 트럼프보다 클린턴 전 장관을 차기 대통령으로 더 선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클린턴 전 장관이 중도성향에 가까울 뿐 아니라 금융시장을 잘 이해하고 있어 당선 시 예측 가능한 정책을 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는 중국 등과의 무역마찰로 경제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많았다.
세계가 석탄 사용을 다시 늘리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석유와 천연가스 공급량이 감소해서다. 기후 변화에 대처한다는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유럽, 미국, 중국 등이 석탄 사용을 다시 늘리고 있다.가장 눈에 띄는 곳은 역설적으로 탄소 중립에 앞장섰던 유럽 국가들이다. 앞서 2030년까지 석탄 퇴출을 약속했던 독일은 오히려 수입량을 늘렸다. 현재 석탄을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됐다. 독일 외에도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도 석탄 화력 발전소를 재가동하거나 생산량을 늘릴 계획이다.미국 일부 지역은 석탄 사용량을 늘렸고, 세계 최대 석탄 소비국인 중국도 석탄 발전소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 인도도 비슷한 상황이다. 뉴델리에 있는 싱크탱크인 사회경제진보센터의 라훌 통기아 연구원은 “지난 4월 인도의 석탄 발전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했다.소비 증가와 맞물려 석탄 채굴량도 늘어났다. WSJ는 중국과 인도에서 지난해 석탄 채굴량이 10% 증가했고, 올해 10% 정도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고 전했다.석탄 생산업체들은 막대한 영업이익을 누리고 있다. 세계 최대 자원개발회사인 스위스 글렌코어는 상반기에만 32억달러(약 4조15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올해 영업이익은 작년의 두 배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한때 석탄 퇴출을 선언했던 국가들까지도 석탄에 눈을 돌리는 까닭은 에너지 공급난 때문이다.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석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치솟았다. 제재를 위해 유럽연합(EU) 국가들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금지했다. 러시
유럽 최대 경제대국 독일이 31년 만에 처음으로 월간 무역적자를 냈다. 세계 경기 둔화 속에 수출이 줄어든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수입 비용이 치솟은 결과다. 독일 안팎에선 “몇 달 안에 지나갈 위기가 아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역적자 낸 통상강국독일 연방통계청은 지난 5월 무역적자가 9억유로(약 1조2200억원)를 기록했다고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수출은 전월 대비 0.5% 감소한 1258억유로, 수입은 2.7% 증가한 1267억유로로 집계됐다. 독일의 월간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동·서독 통일 이듬해인 1991년 이후 처음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제조업 수출을 바탕으로 우뚝 선 유럽연합(EU) 경제강국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분석했다.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며 독일의 수입액이 불어났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5월 에너지 식품 부품 등의 수입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0% 이상 증가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지난 1~5월 독일의 대러시아 수입액도 전년 동기 대비 54.5% 급증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제재하기 위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여나가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더 가팔랐던 것으로 분석된다. 영국 경제연구소 옥스퍼드이코노믹스의 올리버 라카우 경제학자는 “독일이 구조적으로 해외 에너지와 원자재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 보여준다”고 지적했다.독일 경제의 성장동력인 수출은 힘을 쓰지 못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 중인 중국의 도시 봉쇄령으로 대중 수출 규모가 크게 감소했다. 5월 독일의 대중 수입액은 중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1월보다 35
유럽 최대 경제대국 독일이 31년 만에 처음으로 월간 무역적자를 냈다. 세계 경기 둔화 속에 수출이 줄어든 반면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에너지 수입 비용이 치솟은 결과다. 독일 안팎에선 "몇 달 안에 지나갈 위기가 아니다"라는 경고음이 나온다.독일 연방통계청은 지난 5월 무역적자가 9억유로(약 1조2200억원)에 달했다고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수출은 전월 대비 0.5% 감소한 1258억유로, 수입은 2.7% 증가한 1267억유로로 집계됐다. 독일의 월간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동·서독 통일 이듬해인 1991년 이후 처음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제조업 수출을 바탕으로 유럽연합(EU)의 경제강국으로 우뚝 섰던 과거와는 대조적인 수치"라고 전했다.우크라이나전쟁 이후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며 독일의 수입액이 불어났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 5월 에너지, 식품, 부품 등의 수입액은 작년 같은 기간 보다 30% 이상 증가했다.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지난 1~5월 독일의 대러시아 수입액도 전년 동기 대비 54.5% 급증했다. 독일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제재하기 위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여나가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세가 더 가팔랐던 것으로 분석된다. 영국 경제연구소 옥스퍼드이코노믹스의 올리버 라카우 경제학자는 "이번 수치는 독일이 해외 에너지와 원자재 등에 얼마나 구조적으로 의존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독일 경제의 성장 동력인 수출은 힘을 쓰지 못했다. 코로나19 확산세를 막기 위한 중국의 도시 봉쇄령으로 대중 수출 규모가 크게 감소한 것이다. 지난 5월 독일의 대중국 수입액은 4개월 전 보다 35% 증가했지만 중국에 대한 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