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3일(현지시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대응 조치 논의에 본격 착수했다. 그러나 중국이 추가적인 대북 강경 조치를 반대하고 있어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유엔 외교소식통은 “미국이 한국 및 일본과의 협의를 토대로 안보리의 대북 제재 형식과 내용안을 확정해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 중국 등에 직간접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한·미·일 3국은 고강도 제재 결의안을 추구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리 조치의 최대 변수는 역시 상임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가진 중국이다. 중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유감을 표명했지만 안보리 차원에서 논의되는 북한 제재 움직임과 결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 문제와 관련해 “유엔 안보리의 관련 대응은 마땅히 신중하고 적절해야 하고 상황을 더욱 심각하게 만드는 일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대북 추가 제재가 북한이 추가적인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을 높인다고 주장해왔다.

지난 12일 긴급 소집된 유엔 안보리 회의에서도 중국은 미국과 설전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전 라이스 주유엔 미국 대사는 회의에서 “북한의 로켓 발사를 안보리 결의 위반과 지역 안정을 위협하는 도발 행위로 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리바오둥 주유엔 중국 대사가 “북한의 행위는 규탄받을 이유가 없다”고 대응하면서 말싸움이 시작됐다. 리 대사는 “북한의 로켓 발사가 지역 안정을 위협하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라이스 대사는 “말도 안 된다”고 반박했다. 라이스 대사의 공격적인 발언에 화가 난 리 대사는 “말조심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맞받았다.

중국과 달리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채택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타르타스통신에 따르면 알렉산드르 루카셰비치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유엔 안보리에 북한의 로켓 발사와 관련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전적으로 합당한 행보”라며 “우리는 완전히 열린 자세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가 안보리의 대북 결의안 채택 논의에 적극적인 태도를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북한의 로켓 발사가 기존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 1874호 위반이란 점을 수차례 강조해온 러시아가 내용에 따라 추가 대북 결의안을 지지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대북제재 방안 논의에서 중국과 함께 추가 결의안 채택에 반대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뉴욕=유창재 특파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