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여야, 재정협약 비준에 합의
4년간 성장에 1천억 유로 투입…금융거래세 도입
독일 정부가 오는 29일로 예정된 신(新) 재정협약 비준과 유로안정화기구(ESM) 설립안을 위한 의회 승인을 무난히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1일(현지시간) 사회민주당(SPD), 녹색당, 좌파당 등 야당 대표들과 가진 여야 대표 회담에서 재정협약 비준 전제 조건을 합의했다고 회의 참석자들이 밝혔다.
여야는 재정협약 비준 전제조건으로 유럽의 엄격한 재정운용 원칙과 성장 정책 및 일자리 창출 강화에 합의했다.
야당 대표들은 독일 정부가 향후 4년간 유럽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1천억 유로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논란이 됐던 금융거래세 도입은 이에 찬성하는 유럽내 9개 국가들만으로 연내에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재정협약 비준안은 연방 상원과 하원 모두에서 정족수의 3분의 2 이상의 동의을 얻어야 한다.
정부는 상원을 구성하는 16개 지방 정부들의 사전 동의를 얻기 위해 오는 24일 지방정부 대표들과 회담할 예정이다.
(베를린연합뉴스) 박창욱 특파원 pcw@yna.co.kr
독일 정부가 오는 29일로 예정된 신(新) 재정협약 비준과 유로안정화기구(ESM) 설립안을 위한 의회 승인을 무난히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21일(현지시간) 사회민주당(SPD), 녹색당, 좌파당 등 야당 대표들과 가진 여야 대표 회담에서 재정협약 비준 전제 조건을 합의했다고 회의 참석자들이 밝혔다.
여야는 재정협약 비준 전제조건으로 유럽의 엄격한 재정운용 원칙과 성장 정책 및 일자리 창출 강화에 합의했다.
야당 대표들은 독일 정부가 향후 4년간 유럽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1천억 유로를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논란이 됐던 금융거래세 도입은 이에 찬성하는 유럽내 9개 국가들만으로 연내에 시행에 들어가기로 했다.
재정협약 비준안은 연방 상원과 하원 모두에서 정족수의 3분의 2 이상의 동의을 얻어야 한다.
정부는 상원을 구성하는 16개 지방 정부들의 사전 동의를 얻기 위해 오는 24일 지방정부 대표들과 회담할 예정이다.
(베를린연합뉴스) 박창욱 특파원 pcw@yna.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