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 브러더스가 무너진 지 2년이 지났지만 전 세계 모든 시장에 금융위기 충격의 여파가 남아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 금융위기 발발 2주년을 맞아 각 금융시장의 현주소를 위기 발발 이전과 비교하며 이른바 `리먼 효과(Effect)'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우선 투자자들 사이에 믿을만한 수입원을 찾는 추세가 확산되면서 미국 국채와 투기 등급의 '정크 본드' 모두에 돈이 몰렸다.

이 때문에 채권시장에서는 이른 바 `채권 거품'을 우려하는 경고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반면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 주식시장에서는 2008년 9월15일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 보호를 신청한 이후 발생한 손실이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다우지수는 위기 발발 전 보다 900포인트 이상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위기의 `진앙'으로 지목됐던 미국 금융주들은 2년 전보다 3분의 1가량 낮은 수준이다.

선진국 증시에서 자금이 빠져나가 신흥시장 국가로 유입되는 현상도 가속화됐다.

EPFR글로벌의 집계에 따르면 2008년 8월 이래 전 세계 투자자들은 선진국 주식자금 중 2천30억달러를 빼내갔다.

이는 당시 선진국 주식자금 2조4천억달러의 8.5%에 달하는 수준이다.

대신 신흥시장의 주식투자 자금은 크게 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감수하려 했기 때문이 아니라 이들 신흥시장이 낮은 부채 수준 등으로 인해 선진국 대신 전 세계 경제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떠맡고 있기 때문이다.

금은 금융위기 재발 가능성에 대비한 `보험'을 찾는 투자자들이 늘어난데다 장기 인플레이션 가능성과 저금리 등으로 인해 가격이 64%나 치솟았다.

스트래티거스 리서치 파트너스의 수석투자전략가인 제이슨 디세나 트렌너트는 "리먼 브러더스의 실패(여파)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면서 투자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hoon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