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의 `빅2' 미국과 중국이 타이어 관세부과를 놓고 한치도 양보할 기색을 보이지 않고 있어 주목된다.

이번 타이어분쟁은 양국 노동자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이고 앞으로 교역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어 미국과 중국 어느쪽도 쉽게 물러날 수 없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원만한 분쟁해결을 기대하고 있지만 양국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들은 강경일변도여서 어느 한쪽이 손을 들 때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타이어 전쟁'에서 눈에 띄는 점은 미국보다 중국의 입장이 훨씬 강경하다는 것이다.

중국이 지난 12일 미국의 타이어 관세부과 이후 취한 조치들과 중국내 목소리들은 상당한 자신감이 묻어있다.

중국은 미국의 특별보호관세 부과 다음날인 13일 바로 미국의 자동차와 닭고기에 대한 반덤핑, 반보조금 조사에 들어갔으며 14일에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불공정 무역혐의로 미국을 제소했다.

중국의 누리꾼과 언론은 미국이 날린 한방을 두방으로 신속하게 되갚아줬다면서 후련하다는 입장을 표시했으며 더 강력한 반격을 가해 `타이어 전쟁'에서 승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무역업계의 원로인 李모씨는 언론과 인터뷰에서 "상무부의 조치가 신속하게 이뤄졌으며 미국의 핵심을 찌르는 반격이었다"면서 "자위를 위해 무기를 들고 반격할 때"라고 강경한 어조를 나타냈다.

숭량저(宋亮則) 중국상업유통생산력추진센터 연구원은 "미국 제품에 대한 반덤핑조사는 미국 제품의 수입을 억제하려는 것이 아니며 중국도 똑같이 강력한 제재를 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외견상 나타나는 미국의 입장은 다분히 원론적이며 중국처럼 호전적이지는 않아 보인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4일 세계경제위기를 몰고 온 리먼브라더스 사건 발생 1주년을 맞아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중국산 저가타이어 대한 고율관세 부과 조치와 관련, 보호무역의 의도가 담긴 것이 아니라 무역협정을 준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무역협정 이행강제는 개방적인 자유무역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기 때문에 그렇게 했다"면서 "패배적인 보호무역주의를 부추기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번 언급은 중국의 압력에 굴복해 보호관세를 철회할 의사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미국 주요언론들도 양국의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지만 중국을 강력히 성토하는 분위기는 잘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은 미국과 중국이 고위급 협력을 강화하려고 노력해 왔지만 양국 간 마찰은 심화돼 왔다고 지적하고 이번 무역분쟁 역시 단순히 중국산 타이어와 미국산 자동차, 닭고기 제품을 둘러싼 갈등이 아니라 그동안 수면 아래 있었던 무역 불균형 등의 문제가 표출된 것이라며 냉정한 분석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대중 무역적자가 2천680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는 매년 무역적자가 엄청난 규모로 누적되고 있다.

이번 타이어분쟁에서 중국의 입장이 강경한 것은 자신감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이 자신감을 갖는 배경은 중국이 보유한 미국 채권이다.

중국은 6월 말 기준으로 미국채 보유량이 7천764억달러로 전세계에서 가장 많다.

중국이 미국채를 시장에 내다팔면 미국 금리는 폭등하게 돼 회복기미를 보이는 미국 경제는 직격탄을 맞을 수 밖에 없다.

미국은 경제회복을 위해 찍어낸 천문학적인 규모의 달러들이 아무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다시 금융위기를 맞을 수 밖에 없다.

중국도 미국채를 내다팔면 금리가 상승해 결국 손실을 보게되지만 미국만큼 치명적이지는 않다.

미국채가 중국에는 가장 강력한 `무기'지만 미국에는 반대로 `핵폭탄' 같은 무서운 존재인 셈이다.

실제 미국의 보복 관세 조치가 발표된 뒤 중국 인터넷 사이트에는 미국채를 전량 매각할 것을 중국 정부에 촉구하는 글들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세계 최대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이 분쟁일변도로 나가면 양국 모두가 피해를 보고 극심한 침체에서 막 벗어나려는 세계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원만한 합의에 이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일각에서는 미ㆍ중 양국이 오는 24~25일 미국 피츠버그에서 열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분쟁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하이연합뉴스) 김대호 특파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