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2차 핵실험을 강행한 데 이어 영변 폐연료봉 재처리 시설을 다시 가동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북한에 대해 상응한 대가를 치를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미국은 한국과의 방위공약에 따라 핵우산을 제공하겠다는 방침도 거듭 확인했다.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27일 "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고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는 한편 6자회담에서 한 약속을 파기하는 선택을 했다"면서 "이런 행동에는 상응하는 결과가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 참여를 선언한 한국에 반발해 군사적인 타격을 위협하자 단호한 입장을 다시 강조한 것이다.

그는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고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노력에 결과가 있기를 기대한다"며 북한의 6자회담 복귀도 재차 촉구했다.

로버트 깁스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은 위협을 통해 자신들이 갈망하는 관심을 결코 받지 못할 것"이라며 "위협은 자신들의 고립만을 더욱 심화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군 판문점대표부가 성명을 통해 정전협정 무력화를 선언한 것과 관련,"그들이 정전협정 무효를 시도한 것은 지난 15년간 이번이 다섯번째"라고 별 의미를 두지 않았다.

한편 북 핵실험 제재결의안을 추진 중인 유엔 안보리는 이르면 28일 강경한 제재 내용이 담긴 초안을 마련해 회람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과 일본이 주축이 돼 마련 중인 초안에는 2006년 북핵 1차 실험 이후 채택한 1718호 결의의 제재 방안을 강화하고 확대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결의안에는 금수무기 품목을 확대하고 중동과 유럽 등지의 김정일 일가 금융계좌에 대한 동결과 항공기 운항 제한 등이 포함될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마련된 초안은 상임이사국인 중국 등과의 최종 조율이 끝나면 다음 주 초쯤 안보리 전체회의에 상정될 전망이다.

안보리는 이번 결의안이 실효성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192개 회원국에 대해 결의안 발효 한 달 이내에 각국의 이행조치 보고를 요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그러나 새 결의안의 발효일을 정함으로써 대북제재를 강화하기 전에 북한 측의 태도변화를 이끌어내자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이익원/워싱턴=김홍열 특파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