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MBA(경영학석사) 학위는 내게 '주홍글씨'와도 같은 부끄러움이 돼 버렸다. "

영국의 한 신문기자 출신으로 2006년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에서 MBA를 땄던 필립 델브스 브라우튼이 지난달 초 영국 일간지 선데이타임스에 기고한 글이다. 세계 명문 경영대학원 중 하나로 꼽히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 대해 이 같은 자조섞인 비판이 나온 이유는 바로 최근 세간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 동문들 때문이다. 파산 위기에 처해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인수된 뒤에도 자기 사무실을 꾸미는 데 130만달러나 들인 존 테인 전 메릴린치 최고경영자(CEO)와,경영 잘못 책임을 지고 제너럴모터스(GM)에서 쫓겨난 릭 왜고너 전 GM CEO 등이 바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출신들이다.

세계 금융시장을 이끄는 엘리트 인재의 산실로 각광받아 온 미 MBA 과정이 최근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여론의 따가운 질타를 받고 있다. MBA 과정이 단기적인 고수익과 기계적인 자산분석 기법에 지나치게 치중하고,엘리트주의에 따른 과도한 자신감을 키웠다는 게 비판의 주된 이유다. 파이낸셜타임스는 "MBA 출신들은 재학중 엄격한 케이스 스터디 평가 과정을 거치면서 졸업할 무렵이면 자신의 가치와 능력이 최고 수준에 달해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며 "이런 자신감이 위험성 높은 고수익 금융파생상품을 무모하게 운용하게 만든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미 주요 경영대학원들도 이 같은 외부의 비판에 깊이 공감하는 분위기다. 인디애나주 노트르담대학의 캐롤린 우 경영대학장은 지난 2일 영국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겪고 있는 금융위기는 높은 인센티브만을 추구하며 금융권에 대한 규제 감독을 소홀히 한 데 따른 것"이라며 "비즈니스 교육계의 전반적인 재점검이 필요한 시기가 왔다"고 밝혔다. 제이 라이트 하버드 경영대학장도 지난해 10월 열렸던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설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우리 모두는 금융시스템이 얼마나 많이 변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실수를 저질렀다"며 책임을 인정했다.

MBA 과정 재학생들도 커리큘럼의 혁신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미 최대 MBA 학생 조직인 넷임팩트가 지난 3월 MBA 과정 재학생 18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MBA 커리큘럼에서 배운 의사결정 기법이 향후 금융위기의 재발을 막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단 16%에 불과했다. 또 전체 응답자 중 78%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MBA과정 커리큘럼이 수정돼야 한다'고 답변했다.

일부 경영대학원들의 경우 이미 MBA 과정 커리큘럼의 구체적인 개편작업에 나서기 시작하고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수진들은 기존 커리큘럼이 가졌던 약점들을 전면적으로 점검하고,위험관리 및 윤리 부문 수업을 강화하는 내용의 교육과정 혁신안 보고서를 오는 5월 말 발표할 예정이다. 미 UCLA 비즈니스 스쿨의 경우 금융위기와 관련된 생생한 케이스를 수업 소재로 삼기 위해 월스트리트저널 파이낸셜타임스와 같은 경제신문의 기사들을 주요 강의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제니퍼 아믹스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현재의 금융위기와 1990년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이 갖는 유사성에 대한 새로운 강의노트를 준비했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 로테르담경영대학원의 조지 입 학장은 "과거 경영대학원들은 '뇌물을 받지 마라' 정도로 단순한 윤리를 가르쳤지만 이제 인센티브가 어떻게 비윤리적인 행동을 유발하는지와 같은 좀 더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카스 경영대학원의 스테판 스지만스키 부학장은 "금융위기에 대해 설득력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강의가 처음부터 제대로 가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 같은 비판과 자성론 속에서도 MBA의 매력은 그다지 빛을 바래진 않았다. 재무나 회계 등 경영 전문 분야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MBA과정 본연의 중요성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또 불황으로 직장을 잃은 미 금융권 종사자들이 경영대학원으로 몰린 데다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서 금융계 경력을 갖춘 인재들이 MBA를 지원하는 것도 한 요인이다. 미국 경영대학원 입학시험(GMAT)을 주관하는 미 경영대학원입학위원회(GMAC)에 따르면 지난해 GMAT 응시자 수는 26만4641명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